겉흙은 암석, 기후, 지형에 따라 성질 다양한 층위 이뤄
흙의 성질-표층흙
겉흙은 암석, 기후, 지형에 따라 성질 다양한 층위 이뤄
신제성(흙살림 이사)
식물이 뿌리를 내리고 양분을 섭취하는 겉흙은 흙의 생성인자에 따라 여러 가지 성질을 갖게 된다. 모암(암석)에 따른 흙의 색깔은 규소함량이 높아 산성암인 화강암이 대체로 담색인데 철과 고토성분이 높은 염기성암인 현무암은 암색에 가깝다. 유기물이 분해하여 부식이 집적되면서 흙색은 검은색으로 변하게 된다.
이렇듯 겉흙은 암석, 기후, 지형, 생물과 시간의 차이에 따라 흙색, 구조 등의 성질이 특징이 있게 나타낸 층위를 형성하게 되는데 신 분류법(Soil Taxonomy)에서는 이를 감식표층(鑑識表層, diagnostic epipedon)이라 한다. 이 표층은 B층의 일부 또는 집적B층 전체가 유기물의
2014.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