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정보
겉흙은 암석, 기후, 지형에 따라 성질 다양한 층위 이뤄
흙살림
조회수 2,363회
14-03-22 02:14
본문
흙의 성질-표층흙
겉흙은 암석, 기후, 지형에 따라 성질 다양한 층위 이뤄
신제성(흙살림 이사)
식물이 뿌리를 내리고 양분을 섭취하는 겉흙은 흙의 생성인자에 따라 여러 가지 성질을 갖게 된다. 모암(암석)에 따른 흙의 색깔은 규소함량이 높아 산성암인 화강암이 대체로 담색인데 철과 고토성분이 높은 염기성암인 현무암은 암색에 가깝다. 유기물이 분해하여 부식이 집적되면서 흙색은 검은색으로 변하게 된다.
이렇듯 겉흙은 암석, 기후, 지형, 생물과 시간의 차이에 따라 흙색, 구조 등의 성질이 특징이 있게 나타낸 층위를 형성하게 되는데 신 분류법(Soil Taxonomy)에서는 이를 감식표층(鑑識表層, diagnostic epipedon)이라 한다. 이 표층은 B층의 일부 또는 집적B층 전체가 유기물의 영향으로 위로부터 일관되게 암색으로 착색되었다면 포함될 수 있어 A층과 동일한 개념은 아니다.
흙은 경작 등 인위적인 영향으로 성질이 변하게 되므로 생성 분류조사에서는 자연식생지의 흙에서 채취하는 것이 원칙이며 이를 따를 수 없는 농경지에서는 구조만은 현장에서 조사하고 기타항목은 18cm깊이까지 흙을 섞어 분석시료로 공시한다. 농업은 한 장소의 흙에서 장구한 세월 경작하게 되어 독특한 인위(anthropic,사람)표층을 형성하게 된다. 이 특징표층은 암색으로 유기물 함량이 많고 구조가 발달되어 있으며 염기포화도와 가용성인산함량이 높은 무기질의 흙으로 동서양의 문전옥토(門前沃土)가 이에 해당한다.
유기질토 또는 화산회토에서 나타나는 히스틱(histic,생물조직)표층은 미경작지의 유기질토에서는 토탄 또는 흑니(黑泥)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경운을 하면 무기질과 섞여 유기물함량이 감소하게 된다. 연중 상당기간 과잉 수분 상태여서 작물을 재배하려면 인위적인 배수가 필요하다. 이 층은 두께가 20~60cm로 물이끼류(sphagnum)유기물이 3/4(부피)을 차지하여 용적밀도가 매우 낮다.
멜라닉(melanic, 검은)표층은 검은색의 두께가 두꺼운 층위로 흙색은 화본과식생 뿌리에 기원을 둔 유기물 집적이 주원인이다. 구성분인 알로판광물과 알루미늄-부식복합체는 용적밀도를 낮추고 음이온 흡착력을 높이는 안딕(andic) 토양 특성의 한 요소이다. 유기물함량이 높은 화산회토에서 나타나는 표층이다.
몰릭(mollic,부드러운)표층은 검은색의 부드러운 흙으로 구조가 발달되고 염기포화도는 50%이상이고 1% 구연산가용 인산함량은 250mg/kg이하이다. 백두대간의 유기물함량이 높은 산림토양에서 찾을 수 있다.
오크릭(ochric,창백한)표층은 담색의 두께가 얇은 층위로 구조는 건조하면 딱딱한 덩어리(토괴)로 유기물함량이 매우 낮다. 이 층은 담색의 B층을 포함할 수 있으나 암석구조를 지닌 풍화토(마사)나 신생 충적토는 제외된다. 우리 흙의 대부분이 이에 속해 어디서나 쉽게 접할 수 있다.
플라겐(plaggen,잔듸)표층은 주로 서 유럽지역에서 오랜 기간 퇴구비의 시용으로 조성된 암흑색의 인위층위에서 연유되었고 그 두께가 50cm이상이며 투입자재와 경운에 따라 층위가 구분되고 유기물함량과 흙색이 다르게 나타나며 삽으로 작업한 흔적과 함께 거름에 혼입되어 들어간 벽돌, 사기그릇과 뼈 조각을 전 단면에서 보게 되고 강우에 의한 흙의 유실과 퇴적층을 확인할 수 있다.
움브릭(umbric,암색)표층은 암색의 두께가 두꺼운 표층으로 흙색, 유기물과 인산함량, 견고도, 구조, 성숙도와 두께 등의 특성은 몰릭표층과 동일하나 염기포화도가 50% 미만으로 이 성질만이 다르다. 이 표층은 화산회토에서 볼 수 있고 몰릭표층에 비해 산성조건에서 출현빈도가 높다.
2007년 2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