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살림은
흙살림의 유기농업은 현장속의 과학이다.
끊임없는 연구와 기술개발로 흙과 농업과 환경을 살린다.
끊임없는 연구와 기술개발로 흙과 농업과 환경을 살린다.
흙살림을 시작하면서 세상에 내 놓았던 목표를 다시 한 번 되새겨 봅니다.
34년 동안 우리나라 농업, 농민들을 위해 앞만 보고 열심히 달려왔습니다.
34년 동안 우리나라 농업, 농민들을 위해 앞만 보고 열심히 달려왔습니다.
1991년 흙살림 설립 당시의 우리나라 유기농업은 가장 중요한 흙살리기에 대한 생각은 별로 없고, 오직 유기물을 많이 투입하는 방식의 외국기술이 지배하고 있었다. 유기농업을 지원하는 생산기술, 인증, 유통, 정책보다는 농민들의 열정과 소비자들의 헌신으로 유기농업이 싹을 틔우고 있었다.
이 시기에 흙살림은 전통기술과 현재의 과학 기술을 접목하여 유기농업의 생산력을 높이는 일에 관심을 가졌다. 이를 위해 과학자들과 현장의 농민 기술자들이 서로 모여 토론하고 공부하게 됐는데 이 모임이 바로 흙살림을 탄생시킨 계기가 된 것이다.
흙살림은 젊은 과학자들과 현장의 기술자들이 모여 연구하고, 공부하는 조직이었다. 대기업이나 정부연구기관들보다 앞서서 유기농업 분야의 불모지를 개척해 온 것이다. 음식물 찌꺼기를 활용하는 퇴비, 사료 소멸화 기술은 아직도 순환 농업의 중요한 과학적 근거로 남아 있다. 유기농업에 필요한 퇴비 액비 미생물을 활용한 흙 만들기 생태적인 병충해 방제 기술, 제초기술은 흙살림이 만들어온 현장 기술이었다.
이 시기에 흙살림은 전통기술과 현재의 과학 기술을 접목하여 유기농업의 생산력을 높이는 일에 관심을 가졌다. 이를 위해 과학자들과 현장의 농민 기술자들이 서로 모여 토론하고 공부하게 됐는데 이 모임이 바로 흙살림을 탄생시킨 계기가 된 것이다.
흙살림은 젊은 과학자들과 현장의 기술자들이 모여 연구하고, 공부하는 조직이었다. 대기업이나 정부연구기관들보다 앞서서 유기농업 분야의 불모지를 개척해 온 것이다. 음식물 찌꺼기를 활용하는 퇴비, 사료 소멸화 기술은 아직도 순환 농업의 중요한 과학적 근거로 남아 있다. 유기농업에 필요한 퇴비 액비 미생물을 활용한 흙 만들기 생태적인 병충해 방제 기술, 제초기술은 흙살림이 만들어온 현장 기술이었다.
유기농업에 필요한 생산자 교육, 컨설팅, 인증, 분석 분야도 다른 어떤 민간기관이 따라올 수 없는 영역이었다. 수입되는 미생물 자재를 분석하고 효과를 검증하고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재구성했다. 대학교수와 각계 전문가로 연구위원회를 구성해 코덱스 기준에서 허용된 친환경농자재를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재해석하는 등 화학비료와 합성농약을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농업용 농자재 개발에 남다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분석설비와 전문 인력을 갖추어 회원농가의 유기농업을 과학적으로 지도해 왔다. 이와 함께 전통농업을 과학적으로 복원하는 작업을 통해 농촌현장의 곳곳에 숨겨져 있는 농업기술을 발굴해 나가는 한편, 유기농업에 이용하는데 최적의 종자라 할 수 있는 토종 종자를 찾아 나서고 있다.
또한, 분석설비와 전문 인력을 갖추어 회원농가의 유기농업을 과학적으로 지도해 왔다. 이와 함께 전통농업을 과학적으로 복원하는 작업을 통해 농촌현장의 곳곳에 숨겨져 있는 농업기술을 발굴해 나가는 한편, 유기농업에 이용하는데 최적의 종자라 할 수 있는 토종 종자를 찾아 나서고 있다.
인류생명의 원천인 농업은 풍전등화의 위기에 처해 있고,
농업의 모습 또한 건강한 식량생산이라는 원래의 목적을 제대로 이행하지 못하고 있다.
농업의 모습 또한 건강한 식량생산이라는 원래의 목적을 제대로 이행하지 못하고 있다.
도시화·공업화의 추세에 따라 산업폐수와 생활오수가 농촌의 하천과 흙을 오염시키고 있고, 상업적 가치와 편리만 추구하여 진행된 농업정책과 영농방식은 농약, 화학비료 등 화공약품으로 토양의 생명력을 심각하게 떨어뜨리고 있다. 땅이 죽으면 농사가 제대로 안 될 뿐만 아니라 오염된 땅은 독이 된 식량을 인간에게 돌려줄 수밖에 없다. 밥 없이도 인간이 살 수만 있다면 이같은 농업과 농업생태계의 파괴를 절박한 과제로 여기지 않을 수 있을지 모르지만 어디 그런 인간이 이 지구상에 한 명이라도 있는가?
따라서 농업의 토대인 흙을 살려 건강한 농업생산활동과 이를 신명나게 하며 살아가는 농민농촌의 살림은 가장 시급한 이 시대의 과제이다. 이 같은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작은 불씨라도 되고자 우리는 흙살림연구소를 창립한다. 흙살림연구소 우리는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하여 소비자의 생명을 지키며, 우수한 미생물농자재를 연구, 개발, 보급하여 생산자농민의 생명을 지킬 것이다. 그리고 공생순환하는 자연생태계의 원리를 자신의 삶과 논밭에 실천하려는 농민생산자의 고심이 있는 곳에 흙살림연구소는 항상 함께 있고자 한다.
농업의 가치를 바르게 인식하며 모두가 떠나려는 농촌에 지금 남아있는 농민형제들과 농촌에 애정을 갖고 있는 모든 분들의 한결같은 성원으로 흙살림연구소가 가고자 하는 바가 알찬 결실이 이루어지길 기대하며 흙살림연구소 창립을 밝히는 바이다.
1991년 6월 11일
따라서 농업의 토대인 흙을 살려 건강한 농업생산활동과 이를 신명나게 하며 살아가는 농민농촌의 살림은 가장 시급한 이 시대의 과제이다. 이 같은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작은 불씨라도 되고자 우리는 흙살림연구소를 창립한다. 흙살림연구소 우리는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하여 소비자의 생명을 지키며, 우수한 미생물농자재를 연구, 개발, 보급하여 생산자농민의 생명을 지킬 것이다. 그리고 공생순환하는 자연생태계의 원리를 자신의 삶과 논밭에 실천하려는 농민생산자의 고심이 있는 곳에 흙살림연구소는 항상 함께 있고자 한다.
농업의 가치를 바르게 인식하며 모두가 떠나려는 농촌에 지금 남아있는 농민형제들과 농촌에 애정을 갖고 있는 모든 분들의 한결같은 성원으로 흙살림연구소가 가고자 하는 바가 알찬 결실이 이루어지길 기대하며 흙살림연구소 창립을 밝히는 바이다.
1991년 6월 11일
우리 흙살림 일꾼은 자연과 인간이 어우러지는
삶의 터전을 만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다짐합니다.
삶의 터전을 만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다짐합니다.
01
흙을 살리고 국민건강을 지켜나가는 데 모든 노력을 기울인다.
02
더불어 사는 농촌문화의 정착을 위하여 노력한다.
03
스스로 친환경 농업을 실천하고 환경을 살리는 데 모든 노력을 기울인다.
04
흙의 건강상태를 1년에 한 번 이상 파악하여 관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05
흙의 생명체인 미생물, 지렁이, 곤충 등의 활동을 소중히 여긴다.
06
병해충 관리를 위하여 적절한 품종의 선택, 생물학적 방제, 적절한 윤작 등을 실시한다.
07
제초 관리를 위하여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고 적절한 방법을 이용한 방법을 이용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