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보기 기부금내역
유기농업기술

페이지 정보

자갈과 돌은 토양수분증발 낮추고 수분보존능력 높여
흙살림 조회수 1,505회 14-03-22 02:15

본문

흙의 성질-흙의 자갈, 돌과 바위
신제성(흙살림 이사)
자갈과 돌은 토양수분증발 낮추고 수분보존능력 높여
흙에서 모래, 미사와 점토로 이루어지는 토성은 구성 무기물(광물입자)의 비율을 결정한다. 그러나 흙에는 이처럼 모래, 미사, 점토와 같이 2mm이하의 가는 입자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흙 표면과 속에는 정도의 차이는 있어도 자갈(礫), 돌(石) 또는 바위(岩)가 섞여 흙을 이루게 된다. 흙속에 포함된 자갈과 돌과 바위는 현장에서 단면을 기술하면서 크기와 양 등을 기재하고 실험실에서 정량하여 토양을 분류할 경우와 토지이용추천 등에 주로 활용된다. 그러면 흙으로 함께 다룰 수 있는 자갈, 돌과 바위의 지름은 얼마일가?
우리의 토양조사편람에서는 자갈(gravels)은 잔자갈(fine gravels, 2~5cm)과 자갈(5~7.5cm)로, 돌은 잔돌(cobbles, 7.5~25cm)과 돌(stones, 25~60cm), 바위는 둥근바위(boulders, >60cm)와 바위(rocks, >25cm)로 각각 2등분하고 있다. 그러나 돌의 직경이 25cm보다 크거나 암반 같이 바위가 고정되어 이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흙에 포함해서 다루지 않는다. 자갈과 돌이 섞인 흙은 작물생산에 여러 가지로 작용한다.
토성은 일반적으로 쉽사리 변하지 않는 성질인데 더욱이 밭에서는 자갈과 돌이 미세입자를 바람으로 인한 비산과 강우에 의한 유실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한다. 또한 토양수분의 증발을 감소시키는 멀칭의 효과가 있고  강우의 지표침입침투력이 조장되어 유출량이 적어지고 구조의 발달로 흙의 수분보존능은 증가된다. 뿌리는 조대입자의 상대적인 증가로 물리적 장해를 받게 되나 산소의 공급이 좋아지고 양분의 용탈이 증가되는 관계로 자연비옥도는 낮아지게 된다.
돌과 바위는 특히 경운에 애물이 되어 포장 밖으로 옮겨져 돌담으로 바람막이 구실을 하기도 한다. 흙에서 이들 함량은 일반적으로 용적단위로 표시하게 되고 약간 있는 정도(3~10%), 있는(10~35%)과 많은(35~90%)으로 3등분한다. 자갈, 돌과 바위함량이 10%선에 이르게 되면 토성명 앞에 형용사인 ‘자갈(돌, 바위)이 약간 있는’ 이란 토양상(相, phase)명칭을 놓는다. 토양통(統)에는 토성, 경사, 침식상태와 자갈, 돌, 바위함량에 따라 작도(作圖)단위가 달라 토양을 통내에서 서로 구분하게 된다. 우리의 작도단위에는 기본으로 통명과 토양구(區, type)인 토성명과 토양상인 경사등급이 표시된 것이 많고 침식이 있거나 자갈과 돌을 함유하면 토양상으로 병기한다. 예로 천매암 잔적층을 모재로 한 괴산(槐山)통은 괴산지역의 옥천누층군(沃川累層群)의 천매암이나 편암에서 발달한 토양으로 발간된 괴산군 토양도에는 7개의 작도단위가 포함된다. 이 토양은 자갈이 있으며 바위가 있거나 많은 토양으로 토성은 모든 작도단위가 미사질양토이며 자갈이 있는 토양상이 5종이고 바위가 있는 또는 많은 토양상이 각각 1종이다. 위의 5종의 작도단위의 흙은 경사상을 제외한다면 하나의 작도단위로 묶을 수가 있다. 표층의 25~75%가 유실된 ‘침식이 있는’ 침식상은 7개 작도단위가 동일하며 경사상은 7~15%, 15~30%, 30~60%, 60~100%경사 등 4종이다.
괴산 자갈이 있는 미사질양토, 침식이 있는 7~15% 경사,
괴산 자갈이 있는 미사질양토, 침식이 있는 15~30% 경사
괴산 자갈이 있는 미사질양토, 침식이 있는 30~60% 경사
괴산 자갈이 있는 미사질양토, 침식이 있는 60~100% 경사
괴산 바위가 있는 미사질양토, 침식이 있는 30~60% 경사
괴산 자갈이 있는 미사질양토, 침식이 있는 60~100% 경사
괴산 바위가 많은 미사질양토, 침식이 있는 60~100% 경사
자갈이나 돌이 많은(35%이상) 토양인 경우 속(屬)의 토성명을 사용하여 자갈이나 돌이 많은 사질토양(sandy skeletal), 자갈이나 돌이 많은 양질토양(loamy skeletal), 자갈이나 돌이 많은 식질토양(clayey skeletal)으로 표기하여 분류한다. 이 같은 토양은 뿌리가 통과하지 못하게 되어 자갈이나 돌이 많은 토층은 유효토심에서 제외한다.
자갈, 돌과 바위는 모암에서 유래되고 그 형태는 그 근본에서 영향을 받게 되어있어 화강암의 근원된 것은 둥글고 모난 것이, 퇴적암이나 변성암의 경우는 평평하고 층리를 갖춘 것이 일반적인 특징이다. 
2007년 6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