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정보
빗물정원(Rain garden)과 도시녹화
흙살림
조회수 1,284회
14-05-15 13:45
본문
(정원칼럼) 빗물정원(Rain garden)과 도시녹화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도시공간의 불투수면이 증가하고 녹지공간이 크게 훼손되면서 도시열섬화현상과 홍수의 발생등 기후변화 및 물부족 현상에 대한 우려가 점점 커지고 있다.
UN 밀레니엄프로젝트 보고서에 의하면 머지않아 물 부족으로 인해 물 값이 원유가격 만큼 상승하고 이로 인해 전쟁이 발발할 가능성을 제기하기 까지 하고 있으며, 이러한 도시공간에서의 불투수 포장면적의 증가는 필연적으로 동식물이 살아가야 하는 생물의 서식공간(비오톱) 손실의 주요 원인이 되어 환경적응력이 부족한 종들은 우리주변의 생활공간에서 퇴출되거나 개체수가 감소되어 극단적으로는 멸종의 위기까지 걱정되는 상황에 이르고 있다.
중앙집중식 빗물관리방안에서 분산식 관리로 전환
그동안 도시를 조성하거나 공장이나 집을 지을 경우 빗물에 대한 관심은 주로 홍수예방을 위한 그 처리와 배제에 중점을 두어 최대한으로 빠른 시간 내에 하수도시설이나 하천을 통하여 빗물을 배출하도록 하여 왔는데. 이러한 전통적인 중앙집중식 빗물관리 방안은 오늘날 홍수와 과다한 빗물처리시설의 설치에 따르는 막대한 비용 및 도시공간에서 활용가능한 물의 부족현상과 도시생태계의 변화 등의 많은 부작용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반영하여 요즘은 우리주변의 생활공간에서의 빗물처리 및 관리에 관한 대안으로 ‘분산식 빗물관리’ 방법이 적극적으로 도입되고 있는데, 이것은 우리가 살아가는 생활공간이나 주택, 공원, 도로 등의 현장에서 최대한으로 빗물의 저류, 처리 및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으로,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상수도시설을 중심으로 한 값비싼 수자원에 대한 의존도를 감소시키며 하수처리수 활용 및 빗물재이용을 통하여 처리비용의 감소와 건전한 물 순환계 회복을 이룰 수 있게 되었다.
녹지를 활용한 빗물처리 기법인 빗물정원(Rain Garden)을 조성
이러한 ‘분산식 빗물관리 시스템’의 한 방안으로는 빗물이 땅으로 쉽게 스며들도록 투수성 포장재를 사용하거나 공원이나 자투리땅을 활용하여 빗물을 저류할 수 있는 연못등의 저류공간을 군데군데에 만들 수 도 있을 것이며 이러한 공간이 부족한 지역에서는 인공구조물 형태의 저류시설 설치를 통해서도 가능할 것이다.
빗물을 최대한으로 분산처리하여 소요되는 처리비용을 절감하면서 도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는 방법중의 하나가 녹지를 활용한 빗물처리 기법의 하나인 빗물정원(Rain Garden)을 우리가 살아가는 생활공간의 여러 곳에 조성하는 방법이하고 할 수 있는데, 여기서는 먼저 도시를 조성하거나 공장을 만들 때에 다양한 식재공간이나 우수저류공간을 조성하여 비가 내린 뒤에 일시적으로 빗물을 저장한 후 최대한 서서히 유출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로나 아파트, 주차장이나 학교시설에 빗물정원을 조성하거나 주택을 옥상녹화
도로에서는 인도나 차도 중앙에 설치하는 녹지대를 활용하여 빗물이 저류될 수 있도록 ‘오목형 식수대’를 만들어 볼 수도 있다. 또한 아파트 건물입구에 조성하는 녹지대의 경우 단순한 잔디밭이나 식재공간이 아니라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형태로 조성하고 수종도 단기간의 침수나 다습한 환경에도 적응하는 다습형 식물을 선정하도록 한다.
주차장이나 학교시설등에서는 아스팔트나 보도블럭 포장을 최소화 하면서 빗물을 저류하고 지하수로 침투할 수 있는 식수공간으로 조성한다면 홍수의 예방과 도시 생태계의 회복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또한 우리가 거주하는 주택이나 아파트 옥상공간을 활용하여 옥상녹화를 하거나 텃밭공간을 조성하는 것을 통하여도 도시의 빗물관리와 도시생태계의 회복에 큰 기여를 하게 되며, 아울러 건축물의 보호와 단열효과를 통한 유지관리비용의 절감이라는 부가적인 효과도 얻게 될 것이다. <신인환/조경기술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