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정보
본문

9. 강릉도 10. 흑저도 11. 쑤벼 12. 맥도(보리벼) 13. 아가벼 14. 각씨나 15. 돈나(도아지, 돼지찰)
16. 대골도 17. 쪽제비찰 18. 북흑조 19. 산도 20. 녹두도 21. 대관도 22. 버들벼 23. 쥐잎파리벼
24. 올벼 25. 조도(대추찰벼) 26. 황토조 27. 조동지
민요, 구비문학에 종자관련한 대목에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찰벼로 치면 "4 까투리찰, 15 돼지찰, 17쪽제비찰벼"를 들 수 있다. 까투리찰벼는 까락이 없고 꿩처럼 얼룩무늬가 있으며, 돼지찰벼는 전반적으로 붉은 이삭과 붉은색 긴 까락이 특징적이고, 쪽제비찰벼는 까락이 쪽제비털처럼 곧고 억세다. 대추벼는 고농서에도 빠지지 않고 등장하고, 민요에서는 "청산보은의 대추벼"로 나온다. 청산은 지금의 옥천에 속해 있고, 보은은 옥천과 인접해 있다. 25 대추벼(棗稻)도 진한 붉은색의 찰벼이다.


돼지찰벼가 등장하는 민요는 경기, 충북, 경북 등 넓은 분포를 보인다. 돼지찰은 품질이 높은 찹쌀을 의미하고, 과장하여 말하면, 조금만 맛있고 붉으스레하면 지역불문 무조건 "돼지찰"로 불렀을지 모른다.
조상들의 찹쌀에 대한 선망은 매우 컷으리라 생각된다. 찹쌀은 귀하여 - 명절이나 잔치에서 먹어봤을까 - 주식으로 먹을 수 없었을 터이고, 그 때 몇 점 먹어본 쫄깃함은 평생 뇌리에 남았을 것이다. 작물유전학에서 보면 메벼가 찰벼보다 우성인지라, 메벼 수량이 더 높은 것도 맛을 떠나 찰벼 재배를 늘리지 못했던 원인이었으리라.

<고사반. 경기 양주시 광적면효촌리 김환익 채록 1999.>.
양주시 무형문화재인 '소놀이굿'의 <종자타령> 부분과 일반적인 굿에서 '고사소리' 중 <종자풀이> 부분과 많은 유사성을 보인다. 내생각은 파란색으로 표시했다.
농사한철을 지어보자
경상도면 무변답
전라두는 고급답
충청도는 천인답
남전북답 쌍야를 허구
정이월이다 가래질이냐
이삼월이나 부침질
일등전답 물논갈고
호구에다 벱씨뿌려
어떤벱씨 뿌렸더냐
꺼꺼푸드득 쟁기찰이냐
알숙달숙에 까투리찰이냐
인간칠십은 노인인데 : --- 노인벼
두렁넘어 들쑹베 : --- 들충벼
예전답에는 상노찰 : --- 상모찰(벼)
혼저먹어라 돼지찰
많이먹어라 득지기냐 : --- 등터지기(벼)
여기저기 심거꾸나
콩농사를 지어보자
만리타국에 강낭콩
도감포수에 검정콩
이팔청춘에 푸르대콩
독사누공방 홀아비냐 : 독수공방 홀아비콩
여기저기 심었구나
보리농사를 지어보자
갈보리면 봄보리 : 가을보리 봄보리
육모보리냐 참깨들깨를
마늘파를 곁들여서
여기저기다 심었구나
밭농사를 지어보자
올팥이면 늦팥이요
광제기나 적두팥
용에눈이냐 이팥이면
여기저기 심었구나
참깨들깨는 벼슬깨요
마늘파를 곁들여서
여기저기 심었드니
그런경사가 또있나
[네이버 지식백과] 「고사반」 [告祀盤]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논매는 노래(단호리야). 경기 여주군 북내면 신접리. 최간난 1979>. 단호리야 노래속에도 토종벼가 등장한다. 일제시대 육성한 벼품종 '풍옥'을 비롯하여 70년대 '통일벼, 유신벼와 밀양21호' 까지 등장시켜 시대상을 반영한 점이 독특하다.
어화월선 단호리야
어화월선 단호리야
카나 농부야 말들어라
어화월선 단호리야
서마지기 논뱀이가 반달만큼 남었네
어화월선 단호리야
니가 무슨 반달이냐 초승달이 반달이지
어화월선 단호리야
우리 농촌에 농민들아
어화월선 단호리야
어여 농사를 지어보세
어화월선 단호리야
어야 농사 장하도다
어화월선 단호리야
농사 밖에 어디있나
어화월선 단호리야
단합하여 하는일에 농사밖엔 어데있나
어화월선 단호리야
아침부터 저녁까지 땀흘리길 일을삼어
어화월선 단호리야
한톨종자 싻이나서
어화월선 단호리야
만곱쟁이 열매맺는 신기로운 이농사를
어화월선 단호리야
이농사를 지어보세
어화월선 단호리야
이논저논 모를 꽂아
어화월선 단호리야
무슨벼를 심궈볼까
어화월선 단호리야
못다 먹었다 훌쩍베여
어화월선 단호리야
바람불어서 풍옥이라 : '풍옥'벼은 바람과 상관없다. ^^*
어화월선 단호리야
알송달송 까토리찰 : 알록달록 까투리찰
어화월선 단호리야
혼자먹었다 돼지찰벼
어화월선 단호리야
먼저나온 통일베여 : --- 통일벼
어화월선 단호리야
낭중에 나온 유신베라 : --- 유신벼
어화월선 단호리야
또풍에 밀양이십일호도 심궈보세 : -- 밀양21호
어화월선 단호리야 [웃음소리]
세월이 여류하야
어화월선 단호리야
그새꽂인 모포기가
어화월선 단호리야
황금같은에 옷을입고
어화월선 단호리야
낫을들구나 비여보세
어화월선 단호리야
흐드득푸드득 비여다가
어화월선 단호리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