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보기 기부금내역
무엇이든지 물어보세요

페이지 정보

흙살림 비료에 대한 문의
유기농비료 조회수 489회 17-07-25 17:12

본문

안녕하세요?

흙살림 비료를 사용하고 있는 경북 의성의 농가입니다.


저탄소 인증을 받고 있어 관련하여 문의드리고자 합니다.

"흙살림균배양체" 비료의 질소함유율을 알고 싶습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댓글목록

관리자 작성일

흙살림균배양체를 이용해 주셔서 감사드리며.
이 제품의 특성은 말그대로 "균을 배양한 발효유기질"로 보시면 됩니다.
부숙과 유기물(톱밥 등)을 주안점으로 삼는 퇴비의 개념(장점)과
쌀겨, 깻묵 등 천연비료 함량이 조금 더 양호한 유기질원료를 주로 사용하는 유박의 개념(장점)에
미생물과 발효를 접목한 제품입니다.
많은 매니아들께서는 말그대로 균덩어리로써 오랫동안 사용하고 계십니다.
이러한 원료들은 수분함량 상이 및 미생물발효과정 등을 통해 고유특성 및 정량을 유지하기 어려운 변화를 가집니다.
유기물함량, 부숙도, 탄질율, 수분 등 퇴비공정규격은 유지하나,
화학비료처럼 N-P-K를 정확하고 일정하게 유지하기는 힘든 편입니다.
질소함유율로 보자면 2수준 내외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편하게 보통의 가축분퇴비(계분 외) 2포 정도다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사용량은 작물과 토양상태에 따라 다르게 적용할 수밖에 없으나,
크게 묶어 평균적으로 말씀드리면 단독사용 1~2kg 수준/평(또는 그 이상),
가축분퇴비나 유박 등에 보조적 사용(토양개량 미생물발효체로써) 0.5kg~1kg 수준/평(또는 그 이내)입니다.
유박을 주로 사용하시는 분들께는 7(유박):3(균배양체)정도의 비율을 권장합니다.
균배양체 안의 유기물들은 일반톱밥처럼 1~2년씩 길게 끄는 개념이 아닌지라,
오래가는 유기물이 필요한 토양에는 낙엽,수피,톱밥,볏짚 등의 유기물 설계가 수반되면 이상적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