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정보
앤드류 현 IFOAM 회장과의 인터뷰
흙살림
조회수 675회
14-04-03 11:40
본문
Written Interview with IFOAM President Andre Leu (due Feb 25th, 2014)
1. 흙살림 신문이 3월 200호를 맞았습니다. 지난 1992년 6월 11일 1호가 발간된 이후 21년 만입니다. 축하와 격려의 메시지를 전해 주세요.
흙살림 신문의 200호 발행을 축하드립니다. 200호 발행은 매우 훌륭한 성과이며, 흙살림 신문에 기재된 가치있는 유기농업 정보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결과입니다(Congratulations to Heuksalim Newspaper for the 200th Issue. This is a wonderful achievement and shows the importance of the valuable information that is presented in your important publication.)
2. IFOAM(국제유기농운동연맹)이 2014년 주력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일은 무엇입니까?
IFOAM은 2014년에 많은 프로젝트를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는 여러 지역에서 소농들이 빈곤에서 벗어나도록 하기 위해 그들이 생산하는 농산물의 품질과 마케팅을 향상시키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PGS라 불리는 특별한 시스템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PGS는 농민 스스로 조직화한 것으로, 제 3자에게 인증받게 하여 비용의 효율적 대안을 소비자들과 함께 만들어가는 파트너십을 구축하기도 합니다. 이는 세계 대부분의 농부들과 영세가족농이 유기농 생산물에 프리미엄을 가지도록 만들어 준다는 점에서 중요합니다. 우리는 또한 유기농업 분야를 발전시키기 위해 많은 정부기관과도 함께 일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기후변화, 식량안보, 소규모영농과 같은 이슈에 관해서 유엔과도 활발하게 운동하고 있습니다.(IFOAM has many projects is 2014. We are working in many areas, such as improving the production and marketing of small holder farmers to bring them out of poverty. We have a special emphasis on Participatory Guarantee Systems (PGS) where farmers self organize, sometimes in partnership with consumers as a cost effective alternative to 3rd party certification. This is important for the majority of the world’s farmers, small holder family farms so that they can get a premium for their organic produce. We are also working with many governments on assisting them to develop there organic sectors. We are very active in the United Nations on issues such as climate change, food security and small holder families.)
2014년은 세계 가족농업의 해입니다. 우리는 창립의원회로써 올 한해 매우 활발히 활동할 것입니다(2014 is the International Year of Family Farming and IFOAM as a member of the organizing committee is very active in this).
3. 현재 유기농업의 현황은 어떻습니까?
유기농업은 세계 경제의 하락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약 630억 달러의 가치가 있고, 164개국에 유기인증을 받은 농가가 190만 이상이다. 또한 유기농법을 사용하지만 농산물 유통을 위해 다른 인증 방법을 가지고 있는 농가들도 상당히 많이 존재한다(Organic agriculture continues to grow despite the downturn in the global economy. It is now worth around $63 Billion and there are over 1.9 million certified organic farmers in 164 countries and considerably more farmers who use organic methods, however have other guarantee systems to market their products).
4. 유기농업의 성장과 발전이 생각보다 더디다고 느껴집니다. 그 이유는 어디에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유기농업 부분의 성장은 다른 어떤 농업분야보다 빠르다. 우리는 매년 더 많은 유기농업 농가를 육성하고 있는 반면 관행농업을 하는 농가의 수는 상당히 많이 줄어들고 있다. 만약 연구기관과 정부의 지원이 공정하게 배분된다면 유기농업은 더욱 빨리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The growth in the organic sector is faster than any other agriculture sector. We are growing more farmers every year whereas conventional agriculture is losing many hundreds thousands of farmers. It could grow faster if our sector received its fair share of support from governments and the research community).
5. 한국에선 유기농업이 노동력은 더 들어가고, 생산력은 떨어진다고 생각하는 농민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유기농업을 시도조차 하지 않기도 하는데요, 지난해 회장님께서 한국에서 발표하신 자료를 보면 생산력이 관행농법 못지않다고 나와 있습니다. 간략하게 소개를 해주세요.
우리는 유기농업 시스템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막 시작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관행농업보다 더 많은 생산량을 확보할 수 있는 유기농업 시스템을 갖춘 여러 사례를 찾고 있는 중이다. 곡물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노동력을 포함해서 생산비와 투입량을 낮출 수 있는 올바른 디자인과 경영시스템 또한 마찬가지다(Now that we are starting to get scientific research into organic systems, we are finding many examples around the world where organic systems get higher yields than conventional. Similarly with the correct design and management systems we can lower input and production costs, including the labour needed to produce crops).
6. 생산력이 향상된 결정적인 이유(기술)가 있습니까? 한국에서도 가능한 일일까요? 또 한국의 유기농업기술은 어느 정도 수준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생산력을 높이는 열쇠는 유기물 함량이 풍부한 균형 잡힌 토양양분을 확보하는 것이다. 또다른 열쇠는 작물에 유효한 영양분, 병해충 조절과 같은 대부분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기능적인 생물다양성을 알려주는 것이다. 이 모두는 한국 유기농업에 적용될 수 있다. 한국은 집약적 영세 경작에서 선두주자이다. 그리고 흙살림과 같은 조직의 도움을 통해서 생물학적으로 활동적인 생물비료, 미생물, 좋은 토종종자를 통한 높은 생물다양성 확보, 생물적 방제 기술 등을 가질 수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것들은 미량요소와 다량요소의 적절한 밸런스를 맞춰주고 기능적 생물다양성에 맞는 식물을 도입하기 위해, 특히 천적을 끌어들이고 질소 성분과 같은 영양분을 공급해주기 위해 토양 검사를 함으로써 향상시킬 수 있다(The keys to higher production are ensuring balanced soil nutrition with high levels of organic matter. The other key is to introduce functional biodiversity to provide most of the services such as pest and disease control and the availability of nutrients to the crop. All of these can be applied to Korean organic farming. Korea is one of the world leaders in intense small holder cropping and through the assistance of organizations such as Heuksalim has some of the state of the art biocontrols, high biodiversity of quality traditional seeds and good biologically active biofertilizers and microbes. These can be improved by using soil tests to ensure the correct balance of both macro and micro nutrients and the introduction of the correct plants for functional biodiversity, especially to attract natural enemies and to provide nutrients such as nitrogen).
7. 현재 한국은 유기농업이 위기라고 합니다. 인증단체의 비리와 유기농자재원료에서 농약성분이 검출되기도 했습니다. 이런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검증하는 사람을 잘 관리·감독하는 것이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농민들이 실제 작업현장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에 관한 지식을 정부 감시자보다 훨씬 잘 알 수 있기 때문에 농업인과 소비자들이 그룹내에서 농장을 감시하는 PGS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좋은 방법이다. 학습은 농민들이 유기농 시스템을 따르는 방법에 대한 지식을 가지게 하기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정확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면 유기농업인이 되는 것이 더 쉽고 더 효율적이다. 그래서 농약과 관행농업시 사용되는 자재가 필요 없어진다(There are several ways to overcome this situation. Better oversight of the certifiers can help. Forming PGS systems where farmers and consumer peer review the farms in the group is a very good way of doing this and can be more effective than government inspectors as the farmers will have a better knowledge of what is really happening. Training is very important so that farmers have the knowledge on how to comply with organic systems. With the correct knowledge it is easier and more profitable to be an organic farmer, so there is no need for pesticides and conventional farming inputs).
8. 2008년 몬데나 총회에서 발표한 유기농업의 원리에는 4가지가 있습니다. 건강, 생태, 공정, 배려가 그것입니다. 그런데 한국의 소비자들은 이중 건강에만 관심이 많은 것 같습니다. 그것도 전체 생태계나 지구 차원이 아닌 지극히 개인적인 건강에 말이죠. 소비자들의 인식을 바꿀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훈련, 교육, 그리고 소통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흙살림은 농민교육과 신문을 통해서 농업인과 소비자 둘 모두에게 다가감으로써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완벽한 위치에 서 있다(Training, education and communication are the best way to do this. Heuksalim is in the perfect position to do this through its farmer training and the magazine that can go to both farmers and consumers).
9. IFOAM은 지속적으로 북한에 관심을 표명하고 있습니다. 현재 IFOAM이 북한에서 실행하고 있는 프로젝트가 무엇인지 알려주세요. 그리고 한국이 이런 프로젝트에 어떤 역할을 수행했으면 하는지도 말씀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IFOAM은 유독성의 비싼 수입 농약 없이 안전한 음식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북한 생산체계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려고 지원 프로젝트에 참여 중이다. 북한의 리더들은 그들의 나라가 모두 유기농이 되기를 원한다. 한국은 좋은 종자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그들을 도울 수 있을 것이다. 북한 또한 한국인들처럼 통일이 되기를 원하고 있다. 한국의 지원은 한반도의 모든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 일이다(IFOAM is currently working on a project to assist the DPRK improve the yields of their production systems so that they can achieve full food security without the need of toxic, expensive, imported agrochemicals. The leaders of the DPRK want the country to become fully organic. South Korea can help by providing good seeds and good information in Korean. The people in the DPRK like the people in the ROK want to be one country. Assistance from the ROK will help improve things for all the people on the Korean Peninsular).
10. 마지막으로 한국의 농업인들에게 전하고 싶은 말씀이 있다면?
저는 한국의 유기농업인들이 건강하고 신선하며 맛있는 음식을 만들어내는 매우 생산적인 체계에 관해서는 세계 최고라고 생각합니다(I regard Korean organic farmers as amongst the best in the world for highly productive systems that produce healthy, fresh and delicious foo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