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보기 기부금내역
유기농업기술

페이지 정보

친환경농축산물 및 유기식품등의 인증에 관한 세부실시 요령 일부개정고시
흙살림 조회수 649회 14-11-05 17:13

본문

친환경농축산물 및 유기식품등의 인증에 관한 세부실시 요령 일부개정고시
 
?개정이유
- 농림축산식품부 소관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일부 개정에 따라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장에게 위임된 항과 그 밖에 운영 과정에서 나타난 미비점을 개선·보완하기 위함
개정 2014.10.08.(농관원 고시 제2014-38호)
1. 유기
심사사항
현행
개정
가. 경영관리 및 단체관리
1) (생략)
나) 매년 수확하지 않는 다년생 작물(예 : 인삼)을 2년 이상 재배하고 있는 경우 경영관련 자료를 파종일 이후부터 기록하여야 한다.
1) (현행과 같음)
나) ------------------------- (예 : 인삼, 더덕 등) ------- ---------------------------------------------한다. 다만, 작물재배를 위해 포장관리를 하는 경우에는 포장관리를 시작하는 날부터 기록할 수 있다.
나. 재배포장?용수?종자
1) (생략)
가) ?토양환경보전법 시행규칙? 별표 3에 따른 1지역의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초과하지 아니하여야 하며, 잔류농약은 검출되지 아니하여야 한다. 이 경우 잔류농약의 검출한계는 0.01ppm으로 한다.
 
3) 재배포장의 토양에서 잔류농약은 검출되지 아니하여야 한다. 이 경우 잔류농약의 검출한계는 0.01ppm으로 한다.
7) 모종을 구입하여 사용하는 경우 종자 및 육묘과정이 유기인증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이를 입증할 자료를 구비하여야 한다.
1) (현행과 같음)
가) -------------------------- ----------------------------------------------------------------------------------- 다만, 잔류농약의 검출량이 0.01ppm 이하인 경우에는 불검출로 본다.
3) ---------------------------- -----------------------. 다만, 잔류농약의 검출량이 0.01ppm 이하인 경우에는 불검출로 본다.
7) ------------------------- 종자, 상토 및 ----------------- --------------------------------------------.
다. 재배방법
2) 토양개량과 작물생육 및 병해충 관리를 위해 자재를 사용하는 경우 규칙 별표 1 제1호가목1)?2)의 자재에 한해 사용하되, 사용가능한 자재임을 입증할 자료를 구비하고 사용하여야 한다.
 
<신 설>
 
 
 
2) ----------------------------- ---------------------------------------------------- 자재와 법 제37조에 따른 유기농업자재에 한해 사용하고 -----------------------------------.
3) 싹을 틔워서 먹는 농산물 또는 버섯류 등의 재배사와 기구 등을 세척하거나 소독하는 경우 규칙 별표 1 제1호다목1) 허용물질 중 오존수, 이산화염소(수), 차아염소산수를 사용 할 수 있다.
 
심사사항
현행
개정
가. 경영관리 및 단체관리
1) (생략)
다) 매년 수확하지 않는 다년생 작물(예 : 인삼)을 2년 이상 재배하고 있는 경우 경영관련 자료를 파종일 이후부터 기록하여야 한다.
1) (현행과 같음)
(다)------------------------------------한다. 다만, 작물재배를 위해 포장관리를 하는 경우에는 포장관리를 시작하는 날부터 기록할 수 있다.
나. 재배포장?용수?종자
1) 버섯류 등 토양이 아닌 배지에서 작물을 재배하는 경우 재배에 사용된 배지가 ?토양환경보전법 시행규칙? 별표 3에 따른 1지역의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초과하지 아니하여야 하며, 잔류농약은 검출되지 아니하여야 한다. 이 경우 잔류농약의 검출한계는 0.01ppm으로 한다.
 
3) 재배포장의 토양에서 잔류농약은 검출되지 아니하여야 한다. 이 경우 잔류농약의 검출한계는 0.01ppm으로 한다.
6) 모종을 구입하여 사용하는 경우 종자 및 육묘과정이 무농약인증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이를 입증할 자료를 구비하여야 한다.
1) ---------------------------- ------------------------------------------------------------------------------------------------------------------------------------------------. 다만, 잔류농약의 검출량이 0.01ppm 이하인 경우에는 불검출로 본다.
3) ---------------------------- ---------------------. 다만, 잔류농약의 검출량이 0.01ppm 이하인 경우에는 불검출로 본다.
6) ------------------------- 종자, 상토 및 ----------------- ------------------------------------------.
다. 재배방법
2) 병해충 관리를 위해 자재를 사용하는 경우 규칙 별표 1 제1호가목2)의 자재에 한해 사용하되, 사용가능한 자재임을 입증할 자료를 구비하고 사용하여야 한다.
 
<신 설>
 
 
 
 
 
2) --------------------------------------------------------- 자재와 법 제37조에 따른 유기농업자재에 한해 사용하고 -------------------------------------------.
3) 싹을 틔워서 먹는 농산물 또는 버섯류 등의 재배사와 기구 등을 세척하거나 소독하는 경우 규칙 별표 1 제1호다목1) 허용물질 중 오존수, 이산화염소(수), 차아염소산수를 사용 할 수 있다.
2. 무농약
 
심사사항
현행
개정
다. 원료관리
1) 원료 인증품을 구입하여 재포장하는 과정에서 인증품의 품질과 순도를 유지하여야 하며 농산물에 화학물질을 첨가하여서는 아니 된다.
1) -- 인증품(법 제25조에 따라 동등성을 인 받은 유기가공식품을 포함한다)을 ------------------ -----------------------------.
라. 취급방법
1) 인증품을 세척하거나 소독하는 경우 규칙 별표 1 제1호다목1)의 허용물질 중 오존수, 이산화염소(수), 차아염소산수를 사용 할 수 있다.
1) 인증품 또는 작업장 및 기계?기구 등을 ----------------------- --------------------------.
3. 취급자(저장, 포장, 운송, 수입 또는 판매)
 
? 최근 3년 이내 잔류물질 검출 및 기타 인증기준 위반 등의 위험도가 높은 인증사업자 생산과정조사시, 대상의 5% 이상 불고지(不告知) 조사 실시
기준 위반 우려 건 위주로 불고지 조사하여 관리의 실효성 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