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보기 기부금내역
유기농업기술

페이지 정보

차광막을 이용한 시설하우스 재배
흙살림 조회수 1,406회 14-06-10 13:45

본문

여름이 되면 온실 안은 찜질방이 된다. 하우스 안에서 작업을 하다 열사병에 쓰러지는 농민들 이야기를 뉴스로 접할 정도로 일하기 힘든 시기다. 열기를 조금이라도 낮추기 위해 차광막을 설치하기도 하지만 설치·교체하는데 힘이 많이 들뿐더러, 광합성에 필요한 가시광선까지 차단하기에 작물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그런데 이런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농자재가 있어 관심을 끈다. 바로 온실차광제다.
온실차광제는 특수원료와 설계기법을 도입하여 만들어진 광조절 코팅제다. 온실 외부에 코팅하여 온실내부로의 열선 투과를 줄여 과도한 온도 상승 및 습도의 급격한 변화를 줄인다. 또한 빛 산란 효과를 통해 식물 생장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게다가 물을 혼합하는 양을 조절해 차광률을 조절할 수 있어 작물 특성에 맞추어 희석배수를 조절하면 된다. 또한 비에 의한 자연 제거로 비닐하우스 위에 코팅된 차광제를 없앨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이렇게 자연분해됨으로써 환경에 끼치는 영향도 최소화 되어 친환경적이라 할 수 있다. 다만 유리온실의 경우에는 따로 제거제를 써야한다.
온실차광제를 축사에도 이용할 수 있다. 3~5개월 이상 장기형 차광 코팅제를 사용하면 무더운 여름을 최소 3℃ 이상 낮출 수 있다.
차광제를 뿌릴 때는 바람이 적은 날을 선택해야 한다. 큰 양동이와 동력분무기, 교반기를 준비해 원하는 차광율과 희석비를 선택해서 물과 차광제를 교반한다. 교반된 차광제는 침전될 수 있기 때문에 1~2시간 간격으로 다시 교반해야 한다. 다음으로 동력 분무기의 토출량을 적절하게 조절해, 깨끗이 건조된 온실의 외면에 바람을 등지고 일정하게 뿌리면 된다.
 
차광종류별 특징
차광방법
특징
온실차광제(외부)
① 사용자가 차광률 선택 가능
② 경제적인 초기 투자
③ 온도 저감 효과
④ 하절기 선택적 사용
⑤ 기상 변화에 효율적인 대응 한계
차광막(외부)
① 경제적인 초기 투자
② 과실 및 잎에 도달하는 직접 일사 전체 차단
③ 설치, 교체시 인건비(1~2년 교체비용 발생)
④ 가시광선 전체 차단
스크린(외부 또는 내부)
① 초기 투자비 과다
② 기상 상태에 따른 선택적 사용 가능
③ 과실 및 잎에 도달하는 직접 일사 부분 차단 ④ 내부 온도 저감효과 미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