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정보
유기재배용 자재를 이용한 비료 실제 시비량 계산
흙살림
조회수 2,951회
14-05-15 13:42
본문
유기재배용 자재를 이용한 비료 실제 시비량 계산
이번에는 시비성분량을 유기재배용 자재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법을 알아본다. 계산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질소시비성분량 10kg, 인산시비성분량 10kg, 칼리시비성분량 10kg인 경우를 에로 든다. 유시재배에 사용되는 자재 중에서 질소만 들어 있는 비료는 혈분이 있다. 혈분의 질소 함량은 12% 내외이다. 혈분을 가지고 질소시비성분량 10kg을 시비하려면 시비성분량10kg을 혈분의 질소 함량 12%로 나누면 된다. 즉 혈분의 실제 시비량=10÷12%=83.3이 된다. 계산이기에 %가 없는 핸드폰 계산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시비성분량 나누기 질소함량 곱하기 100을 하면 된다. 즉, 혈분의 실제 시비량=10÷12x100=83.3이 된다.
인산만 함유하고 있는 유기재배용 자재에는 인광석이 있는데, 국내에서는 구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골분을 가지고 계산하는 법을 소개한다. 골분의 성분은 조금씩 다르나 대략 질소 2%, 인산 20%가 보통이다. 이 때 질소는 인산의 10%에 불과하므로 인산시비량이 아주 많은 경우가 아니면 질소는 무시해도 된다. 그러면 인산 20%만 가지고 계산하면 되는 것이다.
인산시비성분량을 골분으로 시비할 경우 실제 시비량을 계산하려면 인산시비성분량 나누기 골분 인산함량%를 하면 된다. 이 경우엔 골분 시비량=10÷20%=50이 된다. 핸드폰을 사용할 경우에 골분시비량=10÷20x100=50이 된다.
골분 50kg에 들어 있는 질소성분량=50x2%=1이 된다. 여기서처럼 질소 시비량이 10kg인 경우에는 1kg은 10%(10분지 1)에 불과하므로 큰 문제가 없다. 만약 질소 시비량이 10kg보다 작은 경우에는 골분을 시비함으로써 들어가는 질소시비성분량을 전체 질소시비성분량에서 제외할 필요가 있다.
칼리만 함유하고 있는 유기자재는 일라이트(칼리 3-5%), 천연황산칼리(칼리 45%), 초목회 등이 있다. 초목회중에는 고추대와 담배줄기 재와 같이 칼리 함량이 15~20%에 이르는 것도 있고, 심지어 팜유를 생산하는 부산물의 초목회의 칼리는 30%가 넘는다. 국내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일라이트와 천연황산칼리의 경우를 가지고 칼시 시비성분량을 계산해 본다.
일라이트의 칼리 함량을 4.5%라고 하면, 칼리 시비성분량 10kg을 시비하는 실제시비량은 10÷4.5% 혹은 10÷4.5x100=222가 된다.
천연황산칼리로 시비할 경우에 실제시비량=10÷45% 혹은 10÷45x100=22가 된다. 이 경우와 같이 비료의 성분함량이 10배가 차이 나면 실세 시비량은 10분지1이 된다.
이와 같이 질소, 인산, 칼리만 함유하고 있는 자재를 가지고 시비처방서에 있는 비료 시비량을 계산해서 시비하면 간단하지만, 실제로는 유기농업에서 시비하는 목적은 비료성분 외에 유용미생물의 보급, 유기물의 보급 등과 같은 복합적인 목적이 있고, 또 경제적인 부분도 고려하게 되므로 실제 시비량을 결정할 때는 복잡한 계산이 된다.
예를 들어 균배양체와 같이 질소 2%, 인산 1.5%, 칼리 1%를 함유하는 자재를 시비하는 경우를 보자. 질소, 인산, 칼리 시비성분량이 각각 10kg이라고 하고, 질소시비성분량을 맞추는 경우 균배양체 실제 시비량=10÷2%=500kg이 된다. 인산시비성분량을 맞추는 경우 균배양체 실제 시비량=10÷1.5%=667kg이 된다. 칼리시비성분량을 맞추는 경우 균배양체 실제시비량=10÷1%=1,000kg이 된다. 이렇게 비료의 성분함량이 두가지 이상 들어 있는 경우에는 가장 적은 시비량을 채택한다.
여기서는 500kg이 가장 적으며, 균배양체 500kg을 시비할 때 시비성분량을 보면 질소는 500x2%=10, 인산은 500x1.5%=7.5, 칼리는 500x1%=5kg이 된다.
시비해야할 성분량에서 균배양체의 시비성분량을 빼면 추가로 시비할 성분량이 나온다. 질소=10-10=0, 인산=10-7.5=2.5, 칼리=10-5=5가 각각 추가 시비할 성분량이며, 이는 위에서 언급한 인산과 칼리만 들어 있는 자재로 시비량을 계산하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