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보기 기부금내역
유기농업기술

페이지 정보

온고이지신(4월호)
흙살림 조회수 689회 14-04-04 10:20

본문

거름 재료가치
 
옛 기술 및 지혜
 
16-17 세기를 경과하면서 토지의 비옥도를 높이기 위한 거름의 종류가 크게 확대되었고, 이에 따라 농경지 이용률이 증대되기에 이르렀다.
이런 시점에서 안종수는 [농정신편]을 통하여 거름원의 다양한 종류는 분류하고 그 가치를 서구적 수치에 근거하여 제시하였다.
“거름은 활물류(살아있는 생물)에서 나온 거름이 가장 좋고, 그 다음이 초목종류이며 또 그 다음은 흙과 돌 종류이다.
활물류의 거름은 대개 12가지가 있다. 첫째는 인분이고, 둘재는 인뇨이고, 셋째는 우분과 마분이고, 넷째는 우뇨와 마뇨이고, 다섯째는 계분이고(근래에는 해조분을 대신 쓸 수 있다.) 여섯째는 잠분이고, 일곱째는 짐승의 살이고, 여덟째는 물고기나 조개의 살이고, 아홉째는 말린 물고기이고, 열째는 물고기의 기름이고, 열한째는 사람의 머리카락이나 짐승의 털이고, 열두째는 짐승의 뼈나 단단한 껍질을 태운 재이다.
초목류의 거름에도 12가지가 있다. 첫째는 곡비(곡식을 썩인 거름)이고, 둘째는 묘비(밭곡식을 갈아엎어 쓰는 거름)이고, 셋째는 초비(풀을 썩여 만든 거름)이고, 넷째는 부비(두엄)이고 다섯째는 구비이고 , 여섯째는 초목회(초목을 태운 재) 이고 일곱째는 곡식의 겨이고, 여덟째는 쌀이나 보리의 겨이고, 아홉째는 기름 짠 깻묵이고, 열째는 술 거르고 난 지게미이고, 열한째는 간장의 찌꺼기이고, 열두째는 바다나 강의 물풀이다.
흙이나 돌 종류의 거름에도 모두 12가지가 있다. 첫째는 그을음이고, 둘째는 흙먼지이고, 셋째는 염초(질산칼륨)와 소금이고, 넷째는 먼지이고, 다섯째는 자일니(햇볕에 바짝 말린 진흙)이고, 여섯째는 유황과 명반이고, 일곱째는 홍비석이고, 여덟째는 비광회이고, 아홉째는 생석회이고 열째는 하천진흙이고, 열한째는 천사(하천모래)이고, 열두째는 객토이니, 모두 합쳐 36종류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