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보기 기부금내역
유기농업기술

페이지 정보

친환경시설 참외재배-연작장해의 원인
흙살림 조회수 1,062회 14-03-22 02:49

본문

친환경 시설참외 재배
연작장해의 원인
 
◎ 연작장해 원인
연작장해란 한가지 작물을 같은 장소에 연속해서 재배함으로써 작물의 생육과 수량 및 품질 등이 낮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연작장해의 원인은 매우 다양한데 토양 양분의 소모나 과다에 의한 영양불균형, 토양반응의 이상, 토양 물리성 악화로 인한 배수불량, 토양산도의 부적정과 염류집적, 생리장해, 작물에서 분비한 유해물질의 축적 및 토양병원균 밀도 증가 등이 연작장해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작장해에 의한 식물체의 특징적인 증상은 생육불량, 황화, 뿌리의 갈변과 부패증상 등이다.
연작장해는 연작에 의해서 장해가 발생하므로 작물특이성을 갖고 있으며 원인이 토양에 축적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 작기에 영향을 미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시설채소 연작장해의 원인은 토양양분의 소모보다는 토양에 축적된 각종양분의 과잉이 대부분이다.
일본에서 발표한 연작장해의 예를 아래 표에서 보면 병해에 의한 피해가 매년 증가하여 85.0%에 이르고 다음이 해충으로 6.0%, 토양물리성의 악화인데 이것은 주로 물리성 불량, 습해, 건조해, 지력저하 등이 5%, 생리장해 3.5%로 조사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토양병해에 의한 피해가 80%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다음은 연작장해의 원인을 요인별로 분석해보았는데 크게 물리적요인, 생물적요인, 화학적 요인으로 볼 수 있다.
1. 물리적 요인
채소류와 같은 천근성 작물은 연작하게 되면 토양의 공극율이 떨어지고 입단형성이 저하되어 작물 생육이 불량하게 되고 20∼30cm 토양 아래에 경반층이 생기게 되어 배수불량으로 작물뿌리가 정상적으로 생육이 되지 않아 생육이 불량하며 특히 근채류 재배시 품질이 저하된다.
그림1. 좋은 흙으로 객토한 물빠짐이 좋은 땅
그림2. 객토후 경반층이 형성된 배수불량토
참외생육이 양호함. 참외가 자라지 못하고 고사함.
 
2. 생물적 요인
같은 종류의 작물을 연작하게 되면 토양 중에 침입할 수 있는 병원균 및 뿌리혹선충이 증식하게 되고 휴한기가 짧기 때문에 병원균 및 뿌리혹선충 밀도축적이 가속화되어 연작장해의 원인이 되고 있다.또한 식물자체에서 발생되는 유독물질이 토양에 흡착되어 물에 잘 용해되지 않고 축적되어 연작장해를 일으키는데 유해물질의 축적은 뿌리의 분비물, 작물체 중의 독물질 등이 연작장해를 일으킨다.
그림3. 참외뿌리혹선충 피해주.
그림4. 참외연작지 뿌리혹선충 감염.
 
3. 화학적 요인
포장 조건이 강우가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시비량이 용탈되지 않고 표토에 과다 집적되어 비료 상호간의 길항작용과 상조작용으로 인하여 석회를 시용해도 토양은 산성화되고 더욱이 토양중 칼리가 과잉되면 칼슘, 마그네슘, 붕소와 같은 비료요소의 결핍증상이 발생한다. 또한 화학물질(농약, 제초제)에 의한 작물의 상호작용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이와 같이 화학적 요인은 특히 과비로 인한 염류집적으로 토양 화학성이 악화되어 발생한다.
<표 1> 시설하우스에서의 연작장해요인별 분석(일본)
요 인
년도별 피해율
1967년
1983년
1992년
병 발생
35.0
68.5
85.0
토양선충
16.0
5.6
6.0
생리장해
19.0
14.2
3.5
토양물리성악화
5.0
5.4
5.0
염류집적
5.0
2.3
0.0
기타
20.0
5.0
0.5
 
<글:양병근(흙살림 연구소 부장)>
 
 
<이 자료는 비상업적인 용도를 위해 인용, 복제할수 있습니다. 다만, 출처(출처:흙살림 http://www.heuk.or.kr)를 반드시 밝혀 주시기 바라며 개작은 허용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