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보기 기부금내역
유기농업기술

페이지 정보

시설참외 연작장해 원인과 대책
흙살림 조회수 2,532회 14-03-22 02:49

본문

친환경 시설참외 재배
연작장해 원인과 대책
 
참외 수확이 끝난 후 참외의 연작장해 원인과 대책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하자.
◎ 시설하우스재배지의 토양 특성
시설재배지의 토양의 특성은 자연강우가 차단된 조건이므로 물의 움직임이 노지환경과는 달라서 토양용액의 이동이 달라 작물을 재배시에는 노지 상태와는 달리 관수해야 하고, 또한 하우스재배시에는 집약 다비재배로 수량을 증대시켜야 하기 때문에 과비에 의한 농도장해와 연작년수에 따라 양분간의 비율이 일정치 않게 토양에 집적되어 양분의 불균형을 초래하여 여러가지 장해가 발생되고 있다.
또한 토양 물리성의 악화, 전작물의 뿌리나 잔재물의 분해 과정에서 작물 생육을 저해하는 유독물질이 토양 중에 축적되어 기지 현상이 나타난다. 노지재배는 빗물 등이 토양속을 통과하면서 토양 중에 함유된 비료 성분이 빗물과 함께 지하로 스며들어 용탈되지만, 시설재배지는 많은 관수를 하고 밀폐된 상태로 온도가 높기 때문에 토양의 양수분이 모세관 현상으로 표토에 올라오면 수분은 증발이 되고 비료성분이 집적되어 농도장해를 일으키며 또한 농도가 높은 상태에서는 비료간의 길항작용이나 상조작용이 촉진되어 작물이 심한 양분의 불균형을 초래하여 과잉, 결핍의 원인이 된다.
 
<표 1> 시설재배지 토양의 화학성분함량
구분
산도
(pH)
유기물
(%)
유효
인산
(ppm)
염기치환용량(me/100g)
질산태
질소
(ppm)
염류
농도
(%)
칼리
(K)
석회
(Ca)
고토
(Mg)
평 균
6.2
3.0
1,053
1.2
6.7
2.5
219
0.18
과채류
엽채류
화훼류
6.2
6.2
6.1
2.8
3.7
2.6
1,078
1,012
998
1.3
1.0
1.3
6.5
6.8
7.0
2.5
2.4
2.5
229
167
245
0.20
0.14
0.15
적정범위
6.0∼
6.5
2.0∼
3.0
300∼
500
0.50∼
0.75
5.0∼
6.0
1.5∼
2.0
100∼
150
0.13
이하
 
시설 재배지 토양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위 표와 같이 질산태질소 함량 과다와 염기치환 용량 및 염류농도의 증가 및 유효인산 함량의 과다인데 이의 근본적 원인은 과잉시비나 토양의 양분함량을 고려하지 않은 시비가 가장 큰 원인이 되고 있다.
<글:양병근(흙살림연구소 부장)>
 
 
<이 자료는 비상업적인 용도를 위해 인용, 복제할수 있습니다. 다만, 출처(출처:흙살림 http://www.heuk.or.kr)를 반드시 밝혀 주시기 바라며 개작은 허용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