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정보
표준인삼재배-인삼재배지의 영양
흙살림
조회수 683회
14-03-22 02:48
본문
표준인삼재배
인삼재배지의 영양
모암(母巖)에서 토양까지

인삼에 있어 암석은 영양이론의 시작으로 토양을 구성하는 흙이 어떤 암석에서 유래하였냐가 중요하다. 그리고 인삼에 적합한 영양의 공급원이 유기물에서 얻어지기 때문에 유기물의 성분구성도 역시 중요하다. 그리고 이들 유기질 비료가 토양에서 어떻게 분해되어 식물에 흡수 이용되며 그 후에 식물은 어떻게 생장하여 식물체에 이들 성분이 축적하느냐 하는 것 등이다.
따라서 식물에 어떤 영양원을 주는 것이 효과적이냐를 생각하여야 한다. 인삼도 일반 식물과 마찬가지로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유기성분, 무기성분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이성분으로 약효성분인 사포닌 등을 함유하고 있다.
인삼재배에 적합한 모암
화강암 토양은 인삼의 생육에 그렇게 나쁘지 않으나 대편삼이 거의 생산되지 않아 대부분 중편삼이다. 그래서 인삼의 수납비율도 약간 높은 편이고 균일한 인삼이 생산된다. 화강암 토양은 배수는 양호하나 보수력이 약해 비가 많은 해에는 인삼의 생육이 매우 좋으나 가뭄이 계속되면 생육에 많은 지장을 받는다. 그러나 화강암 토양이라 하더라도 입지적으로 보수력이 좋을 경우 수량성 등에서 의외로 좋은 결과도 있다.
편마암 토양은 인삼 뿌리의 비대성장에 매우 좋으며 뿌리의 수확량도 많고 수납비율도 높다. 편마암 토양은 화강암 토양과 거의 비슷하지만 화강암 토양에 비해 인삼 생육이 더 좋은 것은 편마암에 여러 종류의 암석이 섞여 있어 분포가 다양하기 때문이다.
점판암 토양은 인삼 뿌리의 비대생장이 매우 불량하고 수확량도 적다. 점판암은 사암 등 여러 가지 암석이 혼재되어 있어 혼재된 암석의 종류에 따라 인삼 생육이 달라진다.
점판암 토양은 인삼 뿌리의 비대생장이 매우 불량하고 수확량도 적다. 점판암은 사암 등 여러 가지 암석이 혼재되어 있어 혼재된 암석의 종류에 따라 인삼 생육이 달라진다.
현무암은 인삼의 생육에 아주 좋으며 수확량도 많고 수납비율도 높다. 현무암은 풍화될 경우 중점질 토양을 형성하여 배수가 불량하므로 인삼 생육에 적합하지 않다. 그러나 대부분의 현무암은 규암, 화강암 그리고 편마암 등과 같이 배수가 양호한 암석이 섞여 있으므로 인삼재배에 가장 알맞은 토양을 이룬다.
규암 토양은 대체로 인삼의 생육이 양호하며 개체당 근중도 무거워 뿌리 수확량도 많고 수납비율도 높다. 이는 규암이 풍화된 토양 중에는 입자가 상당히 큰 규사가 포함되어 있어 배수가 양호하기 때문이다.
인삼재배에 부적합한 모암
석회암은 암석중에 석회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암석을 말한다. 석회암이 모암으로 되어 있는 토양은 인삼의 생육에 필요한 양분의 공급이 어려우며 인삼의 재배에 가장 부적합한 토양이다.
사암은 모래가 되는 성질을 많이 갖고 있는 암석으로 점판암과 기타 여러 가지 암석들이 혼합되어 있다. 이런 토양은 인삼재배에 그다지 좋은 편이 아니다. 그러나 아주 나쁘기만 한 것도 아니어서 이런 토양의 경우 비교적 배수가 양호하다. 따라서 토양의 모암에 섞여 있는 암석이 어떤 종류냐에 따라 인삼의 생육이 크게 좌우된다.
재배에 좋은 토양
토양은 식물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흙으로 입단구조, 작토층, 무기, 유기성분 등 다양한 조건이 관여하고 있다. 대체로 식물생육에 적합한 토성은 사양토에서 식양토의 범위로 토양의 구조는 입단구조가 조성될수록 수분과 공기상태가 좋아진다.
토층은 작토층이 깊고 양호해야 하며 심토는 배수와 통기성이 좋아야 한다. 이들 토양 중에 있는 칼슘, 마그네슘, 망간 등 무기성분이 결핍되거나 과다하면 인삼생육을 저해한다. 그리고 유기물 함량이 풍부한 토양은 지력이 향상되지만 너무 과다하면 해롭다.
인삼 생육이 양호한 토양은 사양토에서 식양토 범위이다. 표에서 보듯이 사양토는 식양토에 비해 토양의 입단과 공극의 증가율이 크다.
|
토양입자 |
입경(mm) |
토성 |
세토(입경 2mm이하)중 점토함량(%) |
비 고 |
|
자갈 |
〉2.0 |
사토(沙土) |
〈 12.5 |
인삼 경작토양:
사양토~식양토 |
|
조사(粗沙) |
2.0 ~ 0.2 |
사양토(砂壤土) |
12.5 ~ 25.0 | |
|
세사(細沙) |
0.2 ~ 0.02 |
양토(壤土) |
25.0 ~ 37.5 | |
|
미사(微砂) |
0.02 ~ 0.002 |
식양토(埴壤土) |
37.5 ~ 50 | |
|
점토(粘土) |
〈 0.002 |
식토(埴土) |
〉50 |
<글:정찬문(충북대 특용작물학과 교수)>
<이 자료는 비상업적인 용도를 위해 인용, 복제할수 있습니다. 다만, 출처(출처:흙살림 http://www.heuk.or.kr)를 반드시 밝혀 주시기 바라며 개작은 허용하지 않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