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보기 기부금내역
유기농업기술

페이지 정보

흙의 성질-농업토양정보시스템을 보면, 내 땅 흙이 보인다.
흙살림 조회수 650회 14-03-22 02:23

본문

흙의 성질-농업토양정보시스템을 보면, 내 땅 흙이 보인다.
내 땅의 흙의 성질은 어떨까?
흙을 안다고 이야기하는 농부에게 자기포장 흙의 성질을 설명해보라면 대다수가 모래흙이고 산성이며 유기물함량이 적어 생산성이 낮다는 우리 흙의 특징 성질을 답으로 내놓는다. 이는 우리 흙의 반 이상이 조립질인 화강암의 모재에서 출발하여 생성학적으로 굵은 모래가 많을 수밖에 없는데다가 여름한철 집중호우는 세립질인 점토성분을 씻어내어 상대적으로 모래비율을 더욱 높게 만들고 여름의 고온다습한 기후는 유기물의 분해를 촉진하고 그 집적을 억제하여 논밭에서 그 함량을 2.5~6%의 낮은 수준에 머물게 한 것이다. 이 같은 흙의 척박한 성질을 익히 알고 적색토를 일찍부터 논에 부려(客土) 모래흙(砂土,砂壤土)의 점토함량을 높여(壤土)토성을 개량하고 유기물의 시용을 꾸준하게 실행하고 논밭에서 규산질비료와 석회비료를 정기적으로 시비하게 되어 열악한 조건에서도 흙 성질은 크게 악화되지 않은 채 유지되어 자연식생인 산림 흙보다 농경지의 산도가 1단위이상 높은 것은 과학적으로 흙을 관리해온 덕택이다.
토양을 전산화한 농업토양정보시스템
흙을 합리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국책사업으로 수십 연간에 걸쳐 전국토양을 조사 분석하고 이에 맞게 개량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온 결과 건강한 흙으로 유지되고 있는 것이다. 지구상에 유일하게 필지별로 토양을 분석 정리하여 종합 전산화한 농촌진흥청의 농업토양정보시스템(Agricultural Soil Information System,
http://asis.rda.go.kr)은 이 시대 흙 정보의 보고(寶庫)이다. 이 사이트에 들어가서 자기포장의 지번을 입력하면 흙의 형태적, 물리화학적 성질을 일목요연하게 확인할 수가 있다. 흙의 종류를 구분하는 통(統)을 기초단위로 작성한 토양도가 기본화면으로 이와 연관된 흙의 주요 물리화학성, 토지이용, 토양분류에 이르는 광범위한 자료를 화상에서 동시에 확인할 수가 있다. 통은 흙을 구분하는데 있어 기본이 되는 최하위의 분류단위로 표토를 제외한 흙층의 유사성질을 묶은 것으로 우리 흙은 400여 토양통으로 구분돼 있고 산 정상에서 하천부지에 이르는 모든 필지에 통명이 주어져 있다. 통은 사람의 성씨(姓氏)와 유사한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고 흙의 생성인자(모재, 기후, 식생, 지형, 시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생성산물이므로 각기 차별화된 성질을 지니게 된다. 모재와 지형을 달리하여 생성된 모래흙은 토성은 같다고 하더라도 기타 성질이 달라 통으로 나뉘고 관리방법에서 차이가 있게 되는 것이다. 강가의 충적층을 모재로 한 모래흙은 범람으로 모래층이 형성되어 유기물함량은 층마다 일정한 경향이 없이 들쑥날쑥 불규칙하게 분포한 반면 구릉이나 저 구릉지의 잔적층에 분포한 모래흙은 충적층에서 발달한 통과는 달리 표층에서 심층으로 일정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유기물함량의 분포만으로도 흙의 성질을 구분할 수 있게 된다. 모래라는 공통성질(土性)을 지니고 있으면서 다른 이름(統名)으로 분류되는 수많은 통이 사질논(沖積層)과 사질밭(殘積層)유형(類型)에 포함되어 있다. 논밭 모래흙은 공통점이 많아 각각 한 유형(群)으로 묶어 흙 관리를 한다.
과학영농의 시작, 흙의 이해로 적정 시비 결정
흙의 이해는 합리적인 흙 이용의 기초이므로 흙의 보물창고인 농업토양정보시스템의 내용을 알기 쉽게 풀이하여 흙의 성질에 알맞은 토지이용과 토양관리로 과학영농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 것이 흙해설의 목표라 하겠다. 다행히 농업기술센터가 토양분석실을 운영하며 농가포장 흙을 채취하여 분석하고 흙의 형태적, 물리화학적 성질을 설명하고 시비처방으로 적정시비 하도록 기술지도하는 것은 흙을 해설하는 기초단계이다. 이제는 흙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비하는 기술은 자리 잡혀 명실상부한 과학영농의 길을 밟고 있어 앞으로는 토양정보를 활용하여 흙을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한 흙성질의 해설이 필요하고 이는 모든 작목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과제이기도하다.
<글: 신제성 (흙살림 이사)>

<이 자료는 비상업적인 용도를 위해 인용, 복제할수 있습니다. 다만, 출처(출처:흙살림)를 반드시 밝혀 주시기 바라며 개작은 허용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