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보기 기부금내역
유기농업기술

페이지 정보

[흙의 분진물질]대기 분진의 50~60%는 흙에서 기원한 것
흙살림 조회수 730회 14-03-22 02:22

본문

[흙의 분진물질]대기 분진의 50~60%는 흙에서 기원한 것
생물은 흙에 기반을 두고 의식주(衣食住)를 해결하고 대기의 산소로 호흡을 하며 삶을 이어가면서 일상적으로 변하는 환경에 적응하게 된다. 순수한 대기에는 질소가 78%, 산소 21%, 탄산가스 0.03%가 주요 구성 물질이고 기타 네온(Ne), 헬륨(He), 크립톤(Kr), 크세논(Xe), 수소(H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가 미량으로 존재하여 산촌의 깨끗한 공기의 성분이 이에 가장 근접해 있다.
 산업화, 도시화에 따라 배출되는 각종 오염물질인 유황화합물, 질소화합물, 산소화합물, 할로겐화합물, 유기화합물과 고형물질이 원래의 청정한 대기성분에 혼입되면서 특히 인간의 삶에 고통을 가하고 있다. 대기성분 중 흙에서 유래된 고형물질의 대표적인 분진(粉塵, dust)은 매년 불청객으로 찾아오는 황사로서 지역의 흙먼지를 압도하고 있다. 황사성분은 석영이 주류를 이루고 기타 방해석, 사장석, 점토, 휘석, 운모와 철-티타늄산화물 등의 광물을 함유하고 있다.
바람에 날리는 흙먼지와 함께 화력발전소의 비회(飛灰, fly ash), 시멘트공장의 분진, 금속제련소의 연무(煙霧, fume)상 금속산화물은 대기환경을 혼탁하게 하는 고형물질의 주요 급원이 된다. 대기 중에는 이 같은 고형물질의 미세한 입자가 분진, 연무와 미스트(mist)형태의 에어로졸(aerosol)로 부유하면서 인축의 호흡기로 공기와 함께 침입하여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우리가 숨을 쉬고 있는 공기에는 원소형태의 철, 알루미늄, 망간, 크롬 등이 큰 입자로 카드뮴, 납, 아연, 안티머니 등이 작은 입자로 부유분진을 구성한다. 이 밖에 세계적인 차원에서는 빈발하게 폭발하는 화산작용으로 분출되는 화산진에는 장석, 휘석, 각섬석, 석영, 자철석, 석고, 사장석, 화산유리, 감람석 등이 들어 있어 흙의 조암광물이 모두 포함되어 있는 셈이다. 대도시의 대기 중 분진의 50~60%가 광물질에 기원을 두었고 기타는 공장의 분진과 자동차배기물질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같이 우리가 호흡하고 있는 공기에는 흙(地圈)에서 유래된 광물질인 석영, 장석, 카올리나이트, 일라이트, 석고, 방해석, 흑운모 등의 조암광물이 망라되고 철화합물, 티타늄화합물, 칼슘화합물, 비회, 포자(胞子), 석고 등 다른 산업기원의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대기 중의 분진물질은 흙의 생성과정을 통했거나 화산의 분출 또는 화력발전이나 제련과정에서 그 근원을 찾게 되는데 기원물질은 암석에서 출발했다는 사실이다.
 일상적으로 생활하는 사람의 폐에서 장석, 카올리나이트, 운모, 석영 등 흙의 분진물질이 검출된다는 사실은 흙과 숙명적으로 살아가야하는 인간의 건강문제를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한다. 잘 알려져 있는 직업병인 석탄분진에 의한 진폐증은 과도하게 흡입한 석탄분말이나 이에 들어있는 석영입자에 기인된 것이다. 최근에 보도된 석면(石綿)분진에 오랜 기간 노출되었던 집단의 역학조사에 의해 밝혀진 석면폐질환은 대기에서 광물질분진오염의 심각성을 지적해 주고 있다.
 먼지성분 중에서 인체에 가장 위험한 것이 석면광물입자로 알려져 있다. 석면광물은 쉽게 쪼개지는 섬유상으로 화성암과 변성암의 규산염광물로 부드러운 감촉과 비단 같은 광택으로 열과 전기에 절연성이 강하고 내연성이 뛰어나 내장재(內粧材)로 널리 이용되었다. 그러나 장기간 석면먼지에 접촉하게 되면 폐암을 유발하게 되어 선진국에서는 오래전부터 사용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석면광물은 사문석계열의 백(白)석면이 대표적인 광물이고 각섬석계열에 속하는 투각섬석, 황(黃)석면, 양기석, 앤도필라이트(anthophyllite), 청(靑)석면이 있으며 가장 유해한 것은 청석면이고 다음으로 황석면, 백석면, 각섬석 순이다. 광산인근 흙은 동일 모재에서 생성되었거나 분진과 광미사의 영향을 받아 석면광물을 함유할 수 있고 경작으로 인한 먼지는 대기로 유입되어 지역에 따라 문제의 흙의 분진물질로부터 자유로울 수가 없다. 
 
<이 자료는 비상업적인 용도를 위해 인용, 복제할수 있습니다. 다만, 출처(출처:흙살림)를 반드시 밝혀 주시기 바라며 개작은 허용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