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보기 기부금내역
유기농업기술

페이지 정보

[관측정보] 노지봄감자 재배면적 2% 증가, 고추 9% 감소
흙살림 조회수 480회 14-03-22 02:19

본문

[관측정보] 노지봄감자 재배면적 2% 증가, 고추 9% 감소
<주요 채소류 출하ㆍ가격 전망>
월동배추, 월동무 출하량 감소로 3월 가격 강세 전망. 무는 4월부터 출하면적 증가로 전환될 듯. 2007년산 고추 재고량 많아 3월 가격 작년보다 낮고 2월과 비슷할 듯. 마늘 저장량 많아 3~4월 가격 약세 지속 전망. 양파 3월 가격 약세이나 4월부터 다소 회복할 듯.
가을감자ㆍ시설봄감자ㆍ고랭지 저장감자 출하량 감소로 3월 대지ㆍ수미 가격 동반 강세 지속 전망. 대파ㆍ쪽파 출하량 감소로 3월 가격 강세 지속 전망. 당근 출하량 감소로 3월 가격 강세 전망. 4월에도 겨울당근 저장량 감소로 가격 강세 지속 전망. 양배추 단수 급감으로 인한 출하량 감소로 3월 가격 강세 전망. 4월부터 출하량 증가로 전환할 듯
<봄작형 채소류 재배면적>
봄배추 재배면적 작년보다 3% 증가하나, 봄무는 4% 감소 전망.
봄당근 재배면적 작년보다 5%, 봄양배추는 6% 증가 전망.
노지봄감자 재배면적 작년보다 2% 증가 전망.
4월 대파 출하면적 1% 감소하나, 쪽파는 2% 증가 전망.
<금년산 재배면적 전망>
마늘 재배면적 작년산 수확기 가격 상승으로 작년보다 5% 증가.
양파 재배면적 작년 가격 하락으로 작년보다 14% 감소, 특히 조생종은 22% 감소.
고추 재배면적 노동력 부족과 작년 수확기 가격 하락으로 작년보다 9% 감소.
<한육우>
3~5월 한우 수소 450~470만원. 쇠고기 공급 증가, 수요 감소로 산지가격 하락전망.
08년 3월 및 6월 사육두수 각각 221만 1천두, 233만 6천두 전망. 3월 사육두수는 전년보다 8.2% 증가한 221만 1천두 전망. 인공수정 증가로 6월 사육두수는 전년 동기보다 7.2% 증가한 233만 6천두 전망. 한우 암소 도축 큰 폭 증가, 쇠고기 수입량 증가.
공급 증가, 수요 감소로 산지가격 하락 전망. 설 명절이 지난 3~5월 쇠고기 수요는 전분기보다 감소 전망, 사육불안 심리로 산지가격은 전반적인 하락세 전망. 08년 3~5월 한우(600kg) 암소 산지가격 460~480만원대, 수소 450~470만원대, 수송아지 190~210만원대 전망. 지나친 송아지 입식 자제 요망.
<젖소>
추위로 1분기 원유 생산량 1.4% 감소 전망. 지난해 분유 재고 증가로 08년 유제품 수입량 감소 전망. 젖소 사육두수 감소 폭 둔화 전망, 08년 3월, 6월 1세미만 잠재력 지수 증가세, 젖소 도축 감소세. 지난해 1세미만, 1~2세 두수 감소로 08년 3월, 6월 사육두수 감소 전망.
<돼지>
3~5월 가격 20만 5천원~21만 5천원, 돼지가격 하락, 배합사료 가격 상승으로 올해 양돈농가 경영난 심각. 6월 사육두수 전년 동기보다 감소할 전망. 사육두수 증가에 따라 5월까지는 출하두수 증가 전망. 08년 돼지 산지가격 07년대비 5.6~9.0% 하락, 돼지고기 수입량은 감소.
올해 양돈 농가 경영난 심각. 국제 사료곡물 가격과 해상운임 상승으로 배합사료 가격 큰 폭 상승, 돼지 가격 하락
<산란계>
3~5월 계란 가격 900~1,100원 전망. 사료비 인상으로 농가 부담 가중. 6월 사육수수 5,685만수로 전년보다 증가 전망. 3~5월 계란 가격 900~1,100원 전망. 사료비 인상으로 농가 부담 가중. 국제 곡물가격 상승에 따른 사료가격 인상으로 농가들의 생산비 부담 가중.
<육계>
도계수수 감소로 육계가격 1,400~1,600원 전망. 사료비 인상으로 생산비 부담 가중. 육계 가격 1,400~1,600원 전망. 사료비 상승에도 불구 병아리 생산 잠재력은 높아. 국제 곡물가격 상승에 따른 사료값 인상으로 농가와 계열업체의 부담 가중.
 
<이 자료는 비상업적인 용도를 위해 인용, 복제할수 있습니다. 다만, 출처(출처:흙살림)를 반드시 밝혀 주시기 바라며 개작은 허용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