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정보
본문
복분자딸기(복분자)
기원 : 장미과(Rosaceae)에 속한 복분자딸기 Rubus coreanus Miquel 의 채 익지 않은 열매이다.
과명 : 장미과
약재명 : 복분자覆盆子
이용부위 : 미성숙 녹황색 열매
산지 : 우리나라 전 지역의 계곡과 산기슭 등 양지 바른 곳에서 나며 재배하기도 한다.
개화기 : 5~6월
채취 : 초여름에 과실이 녹색에서 녹황색으로 변할때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응용 : 자양, 강장, 강정 등의 효능이 있다. 신체허약, 음위, 유정, 빈뇨 등에 사용한다. 몸을 따뜻하게 하고 피부를 부드럽게 해주는 효과도 있다.
생약의 특성과 품질규격(대한민국약전)
? 이 약은 냄새가 거의 없으며 맛은 시고 달다.
? 건조감량 : 17% 이하
? 회분 : 8.0% 이하
? 엑스함량 : 묽은에탄올엑스 20.0% 이상
? 저장방법 : 밀폐용기

○ 2014년 복분자의 주산지 및 생산현황
| 주산지 | 생산량(ton) | 단위수량(kg/10a) | |
| 복분자_경작지 | 전북, 전남, 경북 등 | 10,199 | 577 |
* 10a=1,000㎡=300평
○ 복분자의 가격 : 2012~2014년 평균 가격은 600g 기준으로 15,166원이었다(서울 경동 약령시장 도매가격 기준).
종자의 특성


○ 복분자딸기는 전국 15개 자생지역에서 대립·다수확성 개체를 선발하여 정금1호 등 5품종이 육성되어 있다.
○ 대한민국약전에서는 토종 복분자(Rubus coreanus Miquel) 종 만이 한약재로 수재되어 있으며 소엽수는 5~7개이다. 현재 농가에서 재배되고 있는 복분자는 대부분 북미종 복분자(Rubus occidentalis)이며 소엽수는 3개로 토종 복분자보다 잎이 크다,
○ 유기농업에서는 합성화학 물질의 사용이 금지되므로 유기종자를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며 GMO종자나 화학적으로 처리한 종자(삽수)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유기재배 복분자딸기의 종자나 삽수를 자가 채취해서 증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배 환경
○ 토양 : 유기물이 풍부하며 보수력이 높고 통기성이 있는 곳이 좋다. 지하수위가 낮고 토심이 깊으며 물빠짐이 좋은 양토나 사양토에서 재배하는 것이 좋다.
○ 기후 : 겨울철 찬바람을 막을 수 있고 일교차가 크지 않는 기후가 좋다.
○ 지역 : 강한 추위에 약하므로 기온이 급격히 내려가지 않는 지역이 최적지이다.
재배 방법
○ 거름주기 : 정식 전년도에 10a당 퇴비를 2,000~3,000kg 정도를 토양 전면에 살포하고 석회 150~200kg을 살포하고 30cm이상 깊이로 2~3회 갈아 경운한다.
○ 두둑 만들기 : 정식 2~3주전에 두둑을 만든다. 두둑 상면 폭은 120cm로 하고 헛골은 60cm, 높이는 20cm 전후로 한다. 두둑을 비닐로 멀칭을 할 경우 제초작업이 수월하다. 비닐 멀칭을 하지 않을 경우 정식 후 볏짚 등으로 덮어주면 제초작업이 보다 수월하다.

두둑 만들기 상면 넓이 120cm, 헛골 60cm

○ 재배방법 : 종자번식, 포복경번식 또는 삽목번식이 가능하다.
○ 종자 번식 : 노천매장, 저온습사의 방법으로 60% 이상이 발아되나 육묘기간 및 경제적 수확을 얻기까지 기간이 길고 품종이 불확실한 단점이 있다.


○ 삽목 번식 : 줄기삽목은 활착율이 40% 내외로 효과적이지 못하지만 뿌리 삽목은 98%로 우수하다. 휴면기에 뿌리 삽수를 채취하여 길이 7cm, 두께 8mm로 조제하여 건조하지 않게 이끼 등으로 처리하여 저온저장 하였다가 2월 하순경에 배양토(버미큘라이트, 펄라이트, 피트모스를 각각 부피비로 1:1:1 비율로 혼합)에 삽목하여 30% 차광처리를 해준다. 삽목번식을 이용하면 조기수확, 품종고정 및 대량증식이 가능하다.
?식재시기 : 토양이 해빙되는 3월 중순~하순에 식재하는 것이 좋다. 식재가 너무 늦을 경우 신초의 생육이 정지되었다가 다시 생장하는데 이 경우 신초 줄기가 빨리 경화되어 생육이 불량해지고 생장점이 고사하기도 하므로 출아 전까지 식재하는 것이 좋다.
○ 포장 관리
?초기관리 : 어린 묘목의 경우 봄 가뭄으로 말라죽는 경우가 많으므로 식재할 때 충분히 물을 주고 토양수분을 관찰하여 뿌리가 활착할 때 까지 관수가 필요하다. 짚 등을 피복하여 수분 증발 및 잡초발생을 억제해 주는 것이 좋다. 뿌리가 활착된 후 신초가 출아되면 경화되기 전에 전지하여 가지 발생이 많게 유도해주고 신초를 충실하게 성장시켰을 때 2년차에 건전한 결과지를 확보할 수 있다.
?시비관리 : 지속적 다수확을 위해서는 유기물을 충분히 사용해야 한다. 모수 수세가 약하여 잎이 황화되면서 낙엽이 되면 2차로 웃거름을 주어 늦가을까지 생장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추비가 너무 늦으면 신초가 연약해져 겨울철에 동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잡초관리 : 일반적으로 볏짚이나 제초매트를 깔아 방제가 가능하다. 피복을 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수시로 김매기를 해 준다.
?덕설치 : 식재 후 줄기가 성장하는 대로 T자 형의 덕을 세운다. 파이프 두께 25mm, 높이 90cm로 설치하며 가로막대 길이는 80~90cm로 T자 형을 유도하고 굵은 철사로 묶어준다. 일부 농가에서는 일자형 덕을 설치하기도 한다. 일자형 덕은 1단, 또는 2단으로 덕을 설치하는 방법으로 덕설치 자재비 및 설치 노동력을 줄일 수 있으나 햇볕 쪼임과 통풍이 잘되지 않아 복분자의 품질이 떨어지고 수확량이 적다. 특히 장마시 복분자 딸기가 성숙되기도 전에 부패하여 피해가 심하다.


○ 병해충 방제 : 지금까지 발생한 병해충은 유리나방, 박쥐나방, 호랑하늘소, 점무늬병, 탄저병, 세균성병, 대추나무 빗자루병 등이 있으나, 가장 피해가 심한 충은 유리나방이다. 나방류는 천연살충제로 초기에 예방하면 방제가 가능하다.
○ 수확 : 4년생에서 수확량이 가장 많다(이 등, 2010). 과실을 수확한 가지는 자연적으로 고사되는데 신초의 생육을 위해 수확직후 제거해주는 것이 좋다. 약재로 사용하는 미숙과 채취적기는 6월 20일 전후로 이때가 항산화활성이 가장 높다. 생과로 이용 할 때는 완숙과를 수확하면 수송도중 과형태가 부서지므로 완숙 2~3일 전 90%정도 익었을 때 수확한다. 비오거나 기온이 높은때를 피하여 아침 서늘한 시간에 수확하고 햇볕이 들지 않게 관리하며 운반한다.
○ 건조 : 미숙과를 수확하여 햇볕에 말린다.
○ 저장 : 건조된 복분자를 비닐봉지에 담아 밀봉하여 보관한다.



복분자의 활용
○ 약재의 특징 및 활용
약재특징 : 맛은 달고 시며 성질은 따뜻하고 신, 간 경에 작용한다. 신장을 포함한 몸의 아랫부분에 작용하며 신장의 허한 것을 잘 보충해주는 효능이 있다. 유정, 요실금, 빈뇨와 발기부전, 불임 및 간·신이 허하여 눈이 잘 보이지 않는데 쓴다(허, 2000a; 농협약용작물전국협의회, 2013).
수치 : 꼭지와 꽃받침잎을 떼버리고 이물질을 제거하고 그대로 또는 주증酒蒸(술에 재었다가 찌는 포제법)하여 사용한다(한국전통지식포탈; 허, 2000a).
주의사항 : 열성熱性으로 소변을 농축시키므로 소변단삽小便短澁(소변이 시원하게 나오지 않고 찔끔거리며, 양이 적고 느낌이 껄끄러운 증상임)하거나 신허유화腎虛有火의 경우에는 기忌(꺼리다)한다(한국전통지식포탈).
오자연종환A 남자로 인해 임신하지 못하는 것(남성 불임증)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조제용법]
재료 : 구기자 300g, 복분자 150g, 차전자 75g, 오미자 37.5g
① 약재들을 분말로 만든다.
② 꿀로 반죽하여 오동나무씨 크기의 환을 만든다.
③ 공복에 50환, 자기 전에 90환을 물이나 소금물에 먹고 겨울에는 술과 복용한다.
*한국전통지식포탈 오자연종환A 검색. 출전 동의보감(1613년), 원출전 의학입문(1575년).
사물오자원 안혼眼昏(물체가 뚜렷이 보이지 않는 것, 즉 시력이 흐림)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조제용법]
재료 : 구기자, 당귀, 백작약, 복분자, 숙지황, 지부자, 차전자, 천궁, 토사자 각각 같은 분량
① 약재들을 분말로 만든다.
② 꿀로 반죽하여 오동나무씨 크기의 환을 만든다.
③ 공복에 50~70알씩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
*한국전통지식포탈 사물오자원 검색. 출전 동의보감(1613년).
복분자 약차 남자의 신기腎氣(성교할 때의 남자의 정력. 사람의 활동하는 근원)가 허하거나 음위증이 있을 때 효과가 있다. 간을 보하며 눈을 밝게 하고 머리가 희어지는 증상을 치료한다(조와 김, 2015).
[만드는 방법]
재료 : 복분자 40g, 물 1리터
① 약재를 깨끗이 씻어 물기를 뺀다.
② 물 1리터에 30분 정도 담군다.
③ 불을 붙여 물이 끓으면 중불로 30분정도 더 달인다.
④ 달인 후 열매를 건져내고 물만 따라 마신다.
○ 민간요법
음위陰?(음경이 발기하지 아니하여 성교가 불가능한 증상. 발기불능. 임포텐츠)
? 아직 익지 않은 것은 햇볕에 말려 가루로 만들어 먹으면, 정기가 튼튼해지도록 도와주어 발기부전(음위陰?)을 치료할 수 있다(농촌진흥청, 2003).
? 술에 담갔다가 건져내어 약한 불에 말린 다음 보드랍게 한번에 8-10g씩 아침 빈속에 먹는다(허, 2000b).
유정遺精(성행위 없이 무의식중에 정액이 나오는 일로, 흔히 몸이 허약할 때 일어남. 누정漏精)
? 술에 담갔다가 약한 불에 말려 보드랍게 가루내어 한번에 8-10g씩 하루 2-3번 빈속에 먹는다(허, 2000b).
만성간염
? 새삼씨(토사자), 산딸기(복분자) 각각 15-20g을 물에 달여 하루 2-3번에 나누어 식후에 먹는다(허, 2000b).
심장신경증
? 산딸기나무(복분자)뿌리 12g, 꿀풀(하고초) 15g을 물에 달여 하루 3번에 나누어 먹는다(허, 2000b).
설사
? 복분자 딸기의 잎과 뿌리 한줌에 질경이 뿌리 한줌을 깨끗이 씻어서 함께 찧어 성긴 천에 짠물을 한번에 반 공기쯤 먹는다. 하루에 세 번씩 며칠동안 계속 먹는다. 열이 나면서 설사가 있을 때 좋다. 어린아이들은 설탕을 약간 넣어서 하루에 여러 번 숟가락으로 떠 먹인다(농촌진흥청, 2016).
○ 복분자딸기의 다양한 활용
성숙된 열매
? 상쾌한 맛이 있어 그대로 먹거나 복분자주를 담가 마신다. 복분자주는 익은 열매를 3배의 소주에 담근 것으로 피로회복, 식욕증진의 효과가 있다(장, 2009).
○ 복분자딸기(복분자) 관련 논문
이수정, 최혜란, 이정현, 권지웅, 이희권, 정종태, 이태범. 2014.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이 전립선암 세포주와 전립선비대 백서모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3(4): 507-515.
이정현, 최혜란, 이수정, 이민정, 고영종, 권지웅, 이희권, 정종태, 이태범. 복분자 추출물의 항고혈압 활성. 한국식품과학회지, 46(3): 375-383.
장태수, 양재찬, 임선영, 김보애. 2014. 복분자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용혈 효능. 한국유화학회지, 31(1): 130-135.
최혜란, 이정현, 이수정, 이민정, 정종태, 이태범. 복분자 미숙과 물 추출물이 마우스의 지질대사 및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지, 46(4): 489-497.
최혜란, 이수정, 이정현, 권지웅, 이희권, 정종태, 이태범. 2013. 복분자 미숙과 물추출물의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2(12): 1899-1907.
참고문헌
국립산림과학원. 2010. 산림과학속보 제 10-13호, 복분자딸기 재배기술. 국립산림과학원
농림축산식품부. 2015. 2014 특용작물생산실적.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진흥청. 2003. 고농서국역총서5-증보산림경제Ⅱ. 농촌진흥청
농촌진흥청. 2016. 자연에서 찾는 민간요법 약초.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농협약용작물전국협의회. 2013. 농협특선 국산 약용작물 50선. 과학원예사
대한민국약전(www.law.go.kr/행정규칙/대한민국약전)
이갑연, 김규식, 정충화. 2013. 우리 산에 자라는 약용식물.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이진호, 이창호, 강병석, 안병구. 2010. 복분자 재배 기간에 따른 토양의 화학적 특성 변화. 한국토양비료학회지, 43(6): 923-929.
장준근. 2009. 몸에 좋은 산야초. (주)도서출판 넥서스
전국한의과대학 공동교재편찬위원회. 2011. 본초학. 영림사
조경남, 김경수. 2015. 처방전이 있는 질병 치료 약초백과. 푸른행복
최승. 2016. 우리 가족 보약만들기. 전나무숲
한국전통지식포탈(http://www.koreantk.com/)
허창걸. 2000a. 북한 동의보감 약재편. 창조문화
허창걸. 2000b. 북한 동의보감 처방편. 창조문화
한국한의학연구원. (2007). 복분자(覆盆子)A [Data set]. 특허청. https://doi.org/10.20929/KTKP.MED.0000078109
한국한의학연구원. (2007). 오자연종환(五子衍宗丸)A [Data set]. 특허청. https://doi.org/10.20929/KTKP.PRE.0000088323
한국한의학연구원. (2007). 사물오자원(四物五子元) [Data set]. 특허청. https://doi.org/10.20929/KTKP.PRE.0000087439
복분자 딸기[覆盆子]. (2003). [Data set]. https://doi.org/10.20928/KTKP.AGR.000020265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