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보기 기부금내역
유기농업기술

페이지 정보

약초 유기재배<9>고본
흙살림 조회수 1,718회 17-09-26 16:25

본문

약초 유기재배<9>-고본(고본)


■ 기원 : 미나리과(산형과, Umbelliferae)에 속한 여러해살이 풀인 고본 Angelica tenuissima Nakai의 뿌리줄기 및 뿌리이며 한국고본과 중국, 일본에서 사용하는 고본은 각기 다르다.
■ 과명 : 미나리과(산형과)
■ 약재명 : 고본(藁本)
■ 이용부위 : 뿌리줄기 및 뿌리
■ 산지 : 우리나라 각지의 고산에 자생하고 경북 봉화, 강원 영월, 정선, 평장 등 지대가 높은 지역에서 재배하고 있다.
■ 채취 : 가을에 뿌리를 캐어 물에 씻어서 햇볕에 말린다. 
■ 응용 : 동의치료에서 진통진경약으로 머리아픔, 허리아픔, 부인병의 아픔에 쓴다. 또한 피부병에도 효과가 있다고 한다.
생약의 특성과 품질규격(대한민국약전외한약규격집)
  ? 이 약은 특유한 냄새가 있고 맛은 매우며 약간 떫다.
  ? 순도 : 잔경과 그 밖의 이물이 8.0% 이상 섞여 있어서는 안 됨
  ? 건조감량 : 11.0% 이하
  ? 회분 : 9.0% 이하, 산불용성회분 : 3.5% 이하
  ? 엑스함량 묽은에탄올엑스 : 21.0% 이상
  ? 저장방법 : 밀폐용기
■ 식물 :  산기슭에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로 높이가 30~80cm이고 전체에 털이 없으며 향기가 강하다. 잎은 가늘게 갈라졌고 여름철에 작은 꽃이 가지 끝에 모여 핀다. 북부와 중부의 산허리, 양지쪽의 마른 곳에서 자란다. 흔히 바위 사이에서 자라므로 돌반향이라고 한다.


탠? ?? 7?.jpg
고본 노지 육묘 (7월 22일)


○ 2014년 고본의 주산지 및 생산현황

 주산지  생산량(ton)  단위수량(kg/10a)
 경북, 경남, 강원 등  19  256

* 10a=1,000㎡=300평, 생근중 기준. 건조시 무게가 45~50% 줄어든다.

○ 고본(고본)의 가격 : 2012~2014년 평균 가격은 600g 기준으로 12,833원이었다(서울 경동 약령시장 도매가격 기준).

종자의 특성
○ 고본 100립중 : 0.34 g


탠? ? 100풽 크?? 풑.jpg
고본 종자 100립의 크기와 양

○ 고본은 1년생에서도 꽃이 피지만 종자가 잘고 꽃피는 시기가 늦어 종자의 발아율이 낮으므로 2년 이상 된 건전한 포기에서 충분히 익은 종자를 채취하여야 발아율이 높다. 적정 채종 지대는 700~800m 지역이다.


■ 재배 환경
○ 토양 : 토심이 깊고 유기물함량이 많으며 물 빠짐이 좋은 식양토~사양토가 적당하다. 물 빠짐이 좋지 않으면 뿌리가 썩기 쉽고 모래땅에는 잔뿌리 발생이 많아 수량이 낮다.
○ 기후 : 비교적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므로 산간 지역 재배가 알맞다.
○ 지역 : 우리나라 중북부 지역의 산간 고랭지 지역에서 재배가 적당하다.


■ 재배 방법
○ 거름주기 : 거름 주는 양은 밭을 갈기 전에 10a 당 퇴비 1,500kg을 밭 전면에 고르게 뿌려준 후 경운한다. 웃거름은 6월 중순과 8월 상순에 질소질 기준으로 10a 당 2kg이 공급되도록 유기질 비료를 넣어준다.
○ 두둑 만들기 : 두둑 상면 폭은 100 cm로 하고 헛골은 60 cm, 높이는 20~30 cm로 한다. 3열 식재(30 × 10 cm)가 가능하다. 두둑을 비닐로 멀칭을 할 경우 제초작업이 수월하다. 비닐 멀칭을 하지 않을 경우 파종 또는 정식 후 볏짚 등으로 덮어주면 수분유지로 뿌리활착에 도움이 되며 제초발생을 억제하여 제초작업이 보다 수월하다.


탠? ?죝큰풬 30 10.jpg
탠? ?죝큰풬 30 10.jpg
1 두둑당 3열 재배, 재식거리 30 × 10cm


○ 재배방법 : 직파재배와 노지육묘이식 또는 트레이육묘이식재배로 할 수 있다.
○ 직파재배 : 본밭에 직파하여 재배할 경우 2년간 키운 후 수확해야 하므로 노동력과 제초작업, 토지활용도가 낮아 육묘이식재배가 대부분이다.
○ 육묘이식재배 : 노지육묘이식 또는 트레이육묘이식재배로 할 수 있다. 재식거리는 100cm 이랑에 3열로 주간 10cm 간격(30 × 10cm)으로 정식한다. 10a(300평)기준 묘 소요량은 33,000본(1평당 110본)이 알맞다.
○ 노지 육묘 : 11월 초순 또는 봄에 파종하는데, 봄에는 해빙과 동시에 파종하는 것이 가장 좋다. 채취한 종자는 가급적 젖은 모래와 섞어 흙에 묻어 두었다가 해동 후에 파종하면 싹틈이 빠르고 골고루 발아한다. 파종상은 이랑너비 1.2~1.5m로 만들어 줄뿌림 또는 흩어뿌림 한다. 10a당 묘판 소요면적은 30㎡ 정도이고 종자소요량은 500~600g(3리터) 정도 소요된다. 파종 후 종자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부드러운 흙으로 흙덮기를 하고 짚이나 건초 등을 덮어 건조를 방지하고 건조할 경우는 물을 준다. 본 잎이 2~3매 정도 되었을 때 너무 벤 곳은 솎아 주고 김매기를 하여 잡초와 경합되지 않도록 한다.


탠? 7? 22? ? 생?.jpg
7월 22일 모 생육

○ 트레이 육묘 : 3월 중순 트레이에 파종한다. 105구 트레이를 사용할 수 있다. 1구당 2~3립 파종하며 40일 정도 육묘 후에 1구당 1개씩 남겨두고 솎음작업을 해 준다.


탠? 1둄 키? ? 퓰? 푵? 0.7쐼? ?퀀 룹?룤.jpg
1년 키운 묘. 연필 굵기(0.7cm)의 묘가 적당하다


○ 정식 방법 : 정식은 가을 또는 이른 봄에 실시한다. 정식에 적당한 묘의 크기는 직경 0.5~0.7cm의 묘가 적당하다. 큰묘는 꽃대 발생이 많으므로 중간 정도의 묘가 안전하며 정식 전 뿌리가 마르지 않도록 하여 정식한다. 골을 파서 묘두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심고 가볍게 눌러주어 수분유지가 잘 되도록 한다. 가을에 심을 경우는 흙을 약간 두껍게 묻어 월동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 포장 관리 : 직파재배는 생육초기 2~3회에 걸쳐 제초를 해 주어야 하며 이식재배에서는 전 생육기간중 2~3회 제초를 해 주어 잡초와 경합되지 않고 햇볕을 잘 받도록 하고 가뭄이 심하면 물을 준다.
○ 꽃대 자르기 : 8월 상순부터 꽃대가 올라오는 대로 잘라준다. 추대 되어도 약재로 사용 가능하지만 품질이 낮고 뿌리 비대가 되지 않으므로 채종할 것을 제외하고는 꽃대를 잘라준다. 2~3회 꽃대 제거시 무처리보다 뿌리 수량이 16% 정도 많아진다.


7? 22? 생? 상? ?밀퀀 나?뢔 ?.jpg
7월 22일 생육 상황. 꽃대가 나오는 중


○ 채종 : 야산에서 자라는 야생종의 종자를 채종하여 종자로 사용하거나 2년생 고본을 수확하지 않고 일부를 남겨두고 이듬해까지 키우면 추대가 되는데 이것을 채종하여 종자로 활용한다. 즉 2년 이상 된 건전한 포기에서 충분히 익은 것을 채종한다. 적정 채종 시기는 성화 후 50~60일 경이다.
○ 종자 선별 : 가정용 선풍기를 이용하여 당귀는 2단(약풍), 고본은 1단(미풍)으로 2m 떨어진 거리에서 정선하는 것이 발아율이 높다.
○ 병충해 관리 : 병충해에 강하다.
○ 수확 : 정식 후 당년 가을 10월 말~11월 상순에 잎이 누렇게 변할 때 지상부 줄기를 자른 다음 뿌리를 수확한다. 뿌리를 상하지 않게 캐서 지상부를 잘라버리고 흙을 털어낸 다음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린다.
○ 건조 : 수확한 뿌리는 흙을 털고 세척한 다음 뻣뻣한 뿌리가 부드럽게 말랐을 때 뿌리를 곧게 펴서 자연 건조하거나 다목적 온풍건조기를 이용하여 약 40℃에서 절반정도 말린 다음(건조감량 50%) 원반기를 이용하여 3~5mm로 절단하여 수분함량 11% 이하로 뿌리 내부까지 충분히 건조한다.
○ 저장 : 약재에 습기가 많거나 장마 때에 바구미의 피해가 발생될 위험이 있으므로 건조 후 밀폐용기에 담아서 벌레의 피해가 없도록 한다.


탠? 푽?.jpg
고본 약재


■ 고본의 활용
○ 약재의 특징 및 활용
약재특징 :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따듯하고 방광경에 작용한다. 풍한을 발산하고 아픔을 멈춘다. 피부와 살을 자라게 한다. 억균작용을 나타내며 아픔멎이작용도 나타낸다(허, 2000a).
수치 :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정해서 윤투한 후에 절편하여 햇볕에 말려서 사용한다(서 와 정, 2004).
주의사항 : 허열로 머리가 아픈데는 쓰지 않는다(허, 2000a)

고고창탕  매우 크게 가슴이 아픈 것을 치료하는 처방. 대실심통大實心痛(가슴에 기운이 막혀서 심하게 솟아오르면서 아픈 병증)에 사용한다. 감정이 상한 상태에서 음식을 먹어 갑자기 아픈 것으로 대변이 막히기도 한다. 오래도록 걱정이 많으면 가슴이 솟으며 누르면 더욱 아프고 제대로 먹거나 마시지 못한다.
[끓이는 법]
재료 : 고본 18.75g, 창출 37.5g,
① 약재들을 잘게 썬다.
② 물 600ml 30분정도 담가둔다.
③ 중불로 시작하고 끓기 시작하면 약불로 줄여서 처음 물의 절반이 될 때까지 달인다. 약 1시간 30분 정도
④ 하루분량으로 하루에 3번 나누어 먹는다.
*한국전통지식포탈 고고창탕 검색. 출전 의학입문(1575년)

온분A  저절로 땀이 나는 것을 멎게 하는데 처방, 즉 자한自汗(정신이 멀쩡하고 움직이지도 않았는데 저절로 땀이 나는 병증)을 멈추게 한다.
[만드는 법]
재료 : 고본, 백지, 백출, 천궁 각각 9.375g, 좁쌀가루 37.5g,
① 약재들을 가루 낸다.
② 각각의 약재 가루를 합친 37.5g에 좁쌀가루 37.5g을 고루 섞는다.
③ 고루 섞은 가루를 명주천에 싸서 몸에 톡 톡 바른다.
*한국전통지식포탈 온분A 검색. 출전 동의보감(1613년). 원 출전 단심

신출산 L  상한두통傷寒頭痛(찬바람을 외감한 표증으로 나타나는 두통)이나 두동신열頭疼身熱(머리가 은근하게 아프고 몸에 열이 있는 것)을 치료한다.
[만드는 법]
재료 : 감초 3.75g, 고본 3.75g, 창출 7.5g, 천궁 3.75g, 생강 3쪽
① 2 그릇의 물량에 위 모든 약재를 넣고 달인다.
② 물이 끓으면 불을 줄여 물의 양이 절반이 될 때까지 은근히 달인다.
③ 달인 것은 시간에 상관없이 복용한다.
*한국전통지식포탈 신출산 L 검색. 출전 경악전서(1610년)

○ 민간요법
두통
[만드는 법]
? 고본 6~8g을 물에 달여 하루 3번에 나누어 식후에 먹는다(허, 2000b).
비듬
[만드는 법]
? 고본, 백지 각각 25g을 가루 내어 물에 풀어서 머리를 씻는다(허, 2000b).
신경쇠약
[만드는 법]
? 고본을 부드럽게 가루 내어 한번에 2~3g씩 하루 2~4번 아무 때나 먹는다. 10~15g을 물에 달여 하루 2~3번에 나누어 먹어도 된다(허, 2000b).
○ 고본의 다양한 활용
? 방향제로 좋다. 고본 뿌리 2~3개를 방 안이나 자동차 안에 놓아 두면 약초내음이 좋다. 해열, 항염증, 진통 등에 좋다.


○ 고본 관련 논문
이세연, 박호준, 차동석, 신태용, 나호정, 문우성, 강양규, 전훈. 2008. IFN-γ와 LPS로 자극된 쥐의 복강 대식세포에서 고본(藁本) 메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2(6): 1549-1556.
임숙자, 한혜경, 고진희. 2003. 한국산 식용 및 약용 식물의 섭취가 당뇨 유발 흰쥐의 혈당, 글리코겐 및 단백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고본, 누룩치, 모시대 및 산초를 이용하여. 한국영양학회지, 36(10): 981-989.
정춘식, 정기화. 2002.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손상에 미치는 고본의 보호작용. 응용약물학회지, 10(4): 211-217.


참고문헌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봉화고냉지약초시험장. 2012. 고랭지 약초 연구 천궁?당귀?강활?고본. 명성프로젝트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2013. 우리 산에 자라는 약용식물. 서울마케팅컴퍼니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99. 약초의 성분과 이용. 일월서각
농림축산식품부. 2015. 2014 특용작물생산실적. (주)아르빛
농촌진흥청. 2013. 약용작물 농업기술길잡이 7(개정판). 농촌진흥청
민족의학연구소. 2007. 구하기 쉬운 약재로 처방된 88가지 한방약. 북피아
박기춘 등. 2016. 주요 약용작물 고품질 종자생산 확대기술 개발, 농촌진흥청 원예특작과학원 보고서.
서부일, 정국영. 2004. 알기 쉬운 본초학. 대구한의대학교출판부
전국한의과대학 공동교재편찬위원회. 2011. 본초학. 영림사
채영암, 김성민, 김관수, 유창연, 양덕춘, 송창길, 강진호. 2007. 약용식물학. 향문사
최승. 2016. 우리 가족 보약만들기. 전나무숲
한국전통지식포탈(
http://www.koreantk.com/)
허창걸. 2000a. 북한 동의보감 약재편. 창조문화
허창걸. 2000b. 북한 동의보감 처방편. 창조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