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보기 기부금내역
유기농업기술

페이지 정보

약초 유기재배<1> 감국
흙살림 조회수 2,377회 17-01-26 11:23

본문

우리 사회가 고령화 시대를 맞이하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질병을 치료하는 것보다는 예방하는 차원으로 건강에 대한 인식도 달라지고 있다. 이에 흙살림에서는 약초를 유기재배하고 이것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통해 건강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기를 희망해본다.                        편집자주




약초 유기재배<1>감국




■ 기원 : 국화과에 속한 어러해살이 풀이며 감국(野菊) Chrysanthemum indicum Linne‘ 의 두상화서이며, 가을에 꽃이 필 때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또는 국화(菊) C. morifolium Ramatuelle 의 꽃도 약용한다.
■ 과명 : 국화과
■ 약재명 : 감국(甘菊), 야국화(野菊花)
■ 이용부위 : 꽃
■ 산지 : 우리나라 각지에 분포한다.
■ 채취 : 가을에 핀 꽃을 따서 그늘에 말린다.
■ 응용 : 열내림, 해독, 진통, 항염증약으로 감기, 어지럼증, 머리아픔, 눈이 붉고 곪은데, 부기, 부스럼 등에 쓴다. 금은화와 같이 동맥경화증과 과콜레스테롤혈증 치료에 쓴다. 속서근풀뿌리, 쇠무릎뿌리와 같이 고혈압, 협심증 치료에도 6~15g을 물에 달여 먹는다.


■ 생약의 특성과 품질규격(대한민국약전외한약규격집)
  - 이 약은 특유한 향기가 있고 맛은 조금 달며 쓰다.
  - 순도 : 꽃대 및 잎 등의 이물이 3.0% 이상 섞여 있어서는 안 된다.
  - 건조감량 : 10.0% 이하
  - 회분 : 10.0% 이하
  - 산불용성회분 : 1.5% 이하
  - 엑스함량 : 에테르엑스 5.0% 이상
  - 저장방법 : 밀폐용기

■ 식물 : 여러해살이 풀로 높이 1~1.5m이다. 전체적으로 짧은 털이 있다. 줄기는 흑갈색 또는 흑자색이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흰빛의 털이 있다. 꽃은 9~10월에 노란빛으로 피며 열매는 10~11월에 익는다.


퀐푭 생?(2016둄 10? 4?).jpg

감국 생육(2016년 10월 4일)


■ 감국의 가격 : 2012년 서울 경동약령시장 도매가격은 600g 기준으로 16,500원(상), 15,000원(중) 이었다. 대구 한약재도매시장의 2012년부터 2014년까지의 평균가격은 600g기준으로 16,964원이었다.


■ 종자의 특성

  ○ 감국 100립중 : 0.02 g


퀐푭? 100풽 크?? 풑.jpg

감국 종자 100립의 크기와 양
 
퀐푭 ? 쁐? ?푐.jpg
 
퀐푭 ? 쁐? ?푐.jpg
감국 종자 두께 비교
 

  ○ 유기농업에서는 합성화학 물질의 사용이 금지되므로 유기종자를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며 GMO종자나 화학적으로 처리한 종자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유기재배 감국의 뿌리나 줄기 및 종자를 자가 채취해서 증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퀐푭 ? ? (11? 11?).jpg
11월 11일. 감국(감국) 종자 채종 전


■ 재배 환경

  ○ 토양 : 토양 적응성이 높으나 배수와 보수력이 있는 유기질이 풍성한 사양토(모래참흙)로 건조하지 않고 적당한 습기가 있으면 생육이 좋다.
  
○ 기후 : 일조량이 충분하고 통풍이 좋아야 하며 여름철 고온다습지역은 피해야 한다.
  
○ 지역 : 우리나라 전국에서 재배가 가능하다.


■ 재배 방법
  ○ 비료주기 : 거름기가 많은 밭은 굳이 비료를 주지 않아도 된다. 거름기가 많지 않은 밭은 기비로 10a 당 두엄 1,000kg, 유박 60kg, 과석 20kg, 초목회 50kg 정도를 넣고 경운한 다음 두둑을 만든다. 추비는 개화 1개월 전에 유박 썩힌 액비나 청초 액비 등을 적당량 주면 꽃이 크고 많이 개화한다. 시중에 파는 유박포대거름은 수입된 것으로 모두 GMO종자유박이므로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 두둑 만들기 : 두둑 상면 폭은 100cm로 하고 헛골은 60cm,  높이는 20~30cm로 한다. 2열 식재가 가능하다. 두둑을 비닐로 멀칭을 할 경우 제초작업이 수월하다. 비닐 멀칭을 하지 않을 경우 정식 후 볏짚 등으로 덮어주면 제초작업이 보다 수월하다.


쁐쁑 퓌샤? 상? 됓? 100쐼? ?탨 60쐼?.jpg
두둑 만들기 상면 넓이 100cm, 헛골 60cm

?죝큰풬 60탱?? 40쐼?.jpg
재식거리 60 × 40cm

 
  ○ 재배방법 : 종자가 너무 작아 직파재배보다는 트레이육묘이식이나 분주법·삽목법을 이용한다. 소규모로 가정에서 자가소비용으로 재배하고자 할 경우에는 트레이육묘이식이 수월하나 주변 야산에서 또는 재배농가에서 분양 받아 분주 및 삽목방법을 활용 할 수 있다.

  ○ 트레이 육묘 이식재배 : 3월 중·하순 트레이에 파종한다. 105구 트레이를 사용할 수 있다. 1구당 3~4립 파종하며 40일 정도 육묘 후에 1구당 1개씩 남겨두고 솎음작업을 해 주어야 한다. 솎음작업 후 10일 정도 육묘 후 4월 하순 이식한다(중부지방 기준). 재식거리는 100cm 이랑에 2열로 주간 40cm 간격(60 × 40cm)으로 하며, 종자를 3~4립 점뿌림한다. 종자 소요량은 3.3㎡(1평)당 14곳 식재시 10a(300평)당 4,620개(10% 더한 것)가 필요하다.


4? 12?-3? 28? ? ? 10??퐰 ?푄.jpg

4월12일(3월28일 파종 후 10일부터 출아) 


4? 28? ?? 2~3? 생?상태 ?? 4~5? 생?? 죝?.jpg

4월28일, 잎이 2~3잎 생긴 상태. 잎이 4~5잎 생기면 정식함 

둸첑퀐푭 ? ? 29??.jpg

노랑감국(파종 후 29일째) 


?퀐푭 ?? 29??.jpg

흰감국(파종 후 29일째) 


산푭 ? ? 29??.jpg

산국(파종 후 29일째) 


  ○ 분주법 : 봄에 새싹이 나오기 전 포기를 캐어서 여러 포기로 나누어 심는 방법이다. 한번 재배한 후에는 주로 이 방법으로 번식한다. 재식거리는 100cm 이랑에 2열로 주간 40cm 간격(60 × 40cm)으로 묘근이 약간 덥일 정도로 묻는다. 종묘 소요량은 3.3㎡(1평)당 14곳 식재시 10a(300평)당 4,620개(10% 더한 것)가 필요하다.
  ○ 삽목법 : 삽목시기는 4~5월에 하는 것이 적은 모본으로 많은 묘를 만들 수 있다. 방법은 모래 또는 비료분이 적은 흙을 10cm두께로 깔고 묘상을 만든다. 삽수는 길이 8~9cm로 하고 잎을 2~3매 붙여 둔다. 삽수는 반쯤 상토에 비스듬히 꽂고 물을 충분히 준다. 삽목상은 반음지가 되도록 발이나 차광망을 쳐주고 매일 관수하여 주면 2주일 정도 지나서 발근이 되고 3~4주일 후에는 새싹이 5~6cm 자라서 정식할 수 있는 묘가 된다. 재식거리는 100cm 이랑에 2열로 주간 40cm 간격(60 × 40cm)으로 하여 정식한다. 정식작업은 뿌리에 흙을 붙여 비 오는 날 또는 구름이 낀 날에 옮겨 심고 될 수 있으면 관수를 하여 묘가 마르지 않도록 한다. 종묘 소요량은 3.3㎡(1평)당 14곳 식재시 10a(300평)당 4,620개(10% 더한 것)가 필요하다.



2둄생 4? 20? 생?상?-??? ?.jpg

2년생 4월 20일 생육상황(무멀칭 재배) 

9? 16? 생? 상? 죬? ?? 푊?킽? 퀀?퀀 ?킌 ?첀룤.jpg

9월 16일 생육 상황. 적심을 하지 않을 경우 가지가 길게 자란다 


  ○ 포장 관리 : 정식 후 포기사이에 북을 주며 동시에 제초작업을 겸한다. 비닐 피복을 하지 않았을 경우 포기 사이에 볏짚을 깔아주어 수분 유지 및 제초의 발생을 억제한다. 묘가 30cm정도 자라면 적심을 한다. 적심을 2~3회 하게 되면 새로운 가지가 많이 생겨나므로 꽃이 많이 열리게 되며 키도 낮아진다. 적심은 보통 5월말, 6월말, 7월말 3회 실시한다. 감국은 한번 심으면 여러 해 동안 꽃을 수확할 수 있으나 3~4년 동안 재배하면 뿌리가 온 밭에 가득차고 수량도 점점 감소하며 꽃 크기도 작아지므로 포기를 캐어서 분주하여 다시 심도록 한다.

  ○ 병충해 관리 : 진딧물에 의한 피해가 발생되기도 하는데 자닮오일(100배 희석)과 돼지감자 삶은 물(100배 희석)을 혼용하여 방제가 가능하다.


9? 16? 생?상?.jpg

9월 16일 생육상황 


탷? 퓌?뢔 젘?죜? 10? 6?.jpg

꽃이 만발하는 수확시기(10월 6일) 


  ○ 감국 수확 : 가을이 되면 노란 꽃이 피는데 수확 시기는 꽃이 만개하였을 때가 수확적기이다. 수확할 때에는 손이나 가위로 꽃만 잘라 내거나 전체를 이용하기도 한다. 

  ○ 건조 : 햇볕에 1~2일 건조하여 시루에 살짝 쪄서 다시 햇볕에 잘 말리어 조제한다. 건조한 꽃은 되로록 빛깔이 깨끗하고 노란빛이 짙은 것이 상품이다. 열풍건조기로는 50℃에서 26시간 건조시 방향성분함량이 가장 높다(배 등, 2006)

  ○ 저장 : 수분함량이 12%이하가 되도록 완전 건조시키고 10℃ 이하의 온도에 저장한다. 보관시 유리병 등에 넣어 보관하면 사용 시 편리하다. 유리병에 보관 할 때에는 바닥 또는 꽃 사이에 수분흡수제(실리카겔 등)를 넣어 두면 좋다. 저장 중에 방습을 완전하게 하려면 자주 햇볕을 쬐어 다시 건조한다.


산푭 10? 12?.jpg

산국(10월 12일) 


퀐푭 10? 12? 키퀀크? ??밀푼 쐸??룤.jpg

퀐푭 10? 12? 키퀀크? ??밀푼 쐸??룤.jpg
감국(10월 12일). 키가 크면 지주대를 세워 준다 
산푭 클 .jpg
산국(건조 전) 
산푭 클 ?.jpg
산국(건조 후) 
퀐푭?.jpg
감국(감국 꽃) 

■ 감국의 활용

  ○ 약재의 특징 및 활용
     ▲
약재특징 : 꽃 우린 액은 동물의 체온을 약하게 낮추며 많은 양에서는 센 열내림작용이 있다. 또한 흰 생쥐에게서 모세혈관의 저항성을 높이는 작용이 있다. 꽃 알코올 우린액은 동물실험에서 혈압내림작용이 있다.
     ▲ 수치 : 잡질(雜質 ; 이물질)을 제거하고 사용한다.
     ▲ 주의사항 : 기허위한(氣虛胃寒)으로 식욕(食慾)이 없고 설사(泄瀉)하면 써서 안 된다.


    ▲ 감국차 - 한방에서 감국은 차가운 약으로 분류한다. 간의 열을 내리는 작용이 있어 눈이 붓거나 충혈 되었을 때 좋다. 또 가슴의 열을 내려주고 두통이나 어지럼증이 있을 때도 효과적이다. 열성감기에도 사용되는데 진하지 않게 우려내 마시는 것이 좋다.
[끓이는 법]
전처리(법제) 과정 : 감국 꽃송이를 채취하여 물에 씻은 후 말린다(물기를 제거한다). 소금(미네랄이 풍부한 천일염)을 조금 넣고 감국을 증기로 찐다. 찌는 과정은 쇠가 아닌 그릇(옹기 등)에 삼베천을 깔고 10분정도 찐 후 뚜껑 열고 식히고 다시 10분 찌고 뚜껑 열고 식히고 하는 과정을 9번 한 후 그늘에서 말린다. 이것을 준비한다. 전처리과정을 거치지 않고 그냥 말린 감국은 뜨거운 물로 첫 번째 우린 것은 한번 버리고 나서 두 번째 우린 것부터 마시면 된다.
재료 : 감국 20g, 물 1,000ml
① 차관에 말려 모은 감국 20g가량을 넣고 뜨거운 물 1,000ml가량을 부어 우려내 마신다.
② 물 대신 감국차를 자주 마셔도 좋다.


  ○ 국화의 다양한 활용
    ▲ 국화차
[끓이는 법] 
- 감국이 반 쯤 피었을 때 따서 푸른 꼭지의 껍질을 제거하고 좋은 샘물로 끓인 뒤에 꿀을 타서 마신다.
- 이미 핀 좋은 국화의 꼭지와 껍질을 제거하여 꿀로 축축이 버무려 다시 녹말에 넣었다가 꺼내어 끓는 물에 넣어 잠시 데쳐 꺼내고, 또 꿀물에 넣은 뒤에 잣을 띄워 마신다.

   ▲ 기국차
[끓이는 법] 
- 들국화 1냥, 구기자 4냥, 차싹 곧 작설 5냥, 참깨 반되를 함께 갈아 고운 가루로 만들어 체에 내리고, 마실 적에 소금 한 숟가락 정도와 적당한 양의 참기름을 한번 팔팔 끓인 물에 타서 마신다. 
- 이미 핀 좋은 국화의 꼭지와 껍질을 제거하여 꿀로 축축이 버무려 다시 녹말에 넣었다가 꺼내어 끓는 물에 넣어 잠시 데쳐 꺼내고, 또 꿀물에 넣은 뒤에 잣을 띄워 마신다.

*냥(兩)은 질량의 단위이며, 10돈 또는 37.5g 이다. 16냥은 1근(斤)이 된다. 약재의 경우는 4돈(약 15그램중)을 1냥으로 취급 한다(위키백과).
*되(升)는 부피를 재는 단위로 한 되는 1.8리터 정도의 부피이다. 또한 부피를 재는 도구의 이름이기도 하다. 한 되는 열 홉이고, 열 되는 한 말이다(위키백과).

   국화국
[끓이는 법] 
- 물기를 띤 큰 감국을 녹말과 버무려 약간 끓는 물에 데쳤다가 건져내어 잣과 석이버섯 등의 재료를 첨가한 뒤에 초와 장을 써서 국을 끓이면 훌륭하다.

   ▲ 국화나물
[만드는 법] 
- 연한 국화순으로 나물을 만든다. 연한 국화순을 꺾어 끓는 물에 데쳤다가 초와 장으로 간하여 나물을 만들면 훌륭하다.

   ▲ 국화전
[만드는 법] 
- 꿀과 밤으로 떡소를 만들어 지지는데 찹쌀로 만든다.


  ○ 감국 관련 논문
김선재, 박윤미, 정순택. 2005. 감국(Chrysanthemum indicum L.) 추출물의 항충치효과와 Glucosyltransferase 저해활성 탐색.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3): 341-345.
박창순. 2007. 감국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에 대한 연구. 중부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45.
여영만. 2011. 감국에서 분리된 Apigenin의 GABA/Benzodiazepine 수용체 Chloride Channel 복합체를 통한 수면효과. 원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40.
윤지혜, 황은선, 김건희. 2011. 감국(Chrysanthemum indicum L.) 추출물이 MC3T3-E1조골세포의 증식 및 분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0(10): 1384~1390.
이상훈, 황인국, 노진우, 장영득, 이철희, 우관식, 정헌상. 2009. 감국, 산국 및 구절초꽃 분말 차의 항산화활성과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8(7): 824-831.
장민선, 박미지, 정문철, 김동만, 김건희. 2011. 천연 갈변저해제로서의 민들레 및 감국 추출물의 항산화 및 갈변억제 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8(4): 584-589.

글 임진수 박사<흙살림연구소>
※ 다른 의견이나 개선점이 있으시면 댓글이나 전화연락 바랍니다. 070-4035-5088


참고문헌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99. 약초의 성분과 이용. 일월서각
김범, 유남승, 윤상훈, 최정인. 2015. 신 동의보감 건강혁명. 미다스북스
농림축산식품부. 2015. 2014 특용작물생산실적. (주)아르빛
농촌진흥청. 2013. 약용작물 농업기술길잡이 7(개정판). 농촌진흥청
농촌진흥청. 2016. 자연에서 찾는 민간요법 약초. 미래기획
농협약용작물전국협의회. 2013. 농협특선 국산 약용작물 50선. 과학원예사
배성문, 진영민, 정은호. 2006. 방향성 약초의 적정건조방법. 경남농업기술원 영농활용보고서
이강자 등. 2003. 국역 증보 산림경제. 신광출판사
이영호. 1999. 알기 쉬운 보약 달여 먹는 법. 유원
장준근. 1999. 산야초 동의보감. 아카데미북
전국한의과대학 공동교재편찬위원회. 2011. 본초학. 영림사
채영암, 김성민, 김관수, 유창연, 양덕춘, 송창길, 강진호. 2007.약용식물학. 향문사
한국전통지식포탈(
http://www.koreant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