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보기 기부금내역
유기농업기술

페이지 정보

흙살림 균배양체 덕분에 유기농사 지어요
흙살림 조회수 1,129회 16-10-31 11:57

본문

균배양체 사용담

 

농사 농자도, 호미 한 번도 잡아보지 못한 채 신랑을 딸라 충주로 귀농해서 지금까지 농사를 짓게된 농부의 아내 최정분입니다.

처음 방울토마토 농사를 지으면서 수확량도 다른 사람의 반도 안되어 많이 힘들었어요. 쑥갓을 심어도 양가로는 제대로 크는데 중간에는 자라지도 크지도 안더라고요. 화학비료와 농약을 많이 써와서 땅이 황폐화 졌다고나 할까 작물이 자라질 않았어요.

그런데 어느 날 흙살림 신문을 접하면서 토양관리에 ‘균배양체’가 있다는 사실을 알고 괴산 흙살림문을 두드렸답니다. 한작기, 두작기 균배양체를 뿌리면서 토양이 개선되고 한해 두해 수확량도 늘더라고요. 작물생육이 좋아지는 것을 눈으로 봐도 느껴질 정도로 황폐해진 땅도 거의 없어지더군요. 그래서 지금까지 친환경농업을 지으면서 균배양체가 토양개선에는 최고라고 생각해서 주의사람들에게 권유하고 있습니다. 초보농부를 교육하고 균배양체 같은 퇴비를 있게 해주신 “흙살림”께 감사합니다.

저희 부부가 농사를 짓는 한 흙살림에서 생산되는 “균배양체”는 계속 사용할 생각입니다. 앞으로도 흙살림에 무궁한 발전이 있기를 바랍니다.

충주시 한농부의 아내 최명분

저는 경북 성주에서 유기농업으로 참외를 합니다. 2000년 초부터 흙살림 균배양체를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습니다. 균배양체로 유기농업을 시작하였으며 이후로도 균배양체 없인 유기농업을 할 수 없습니다.

경북 성주군 이일웅

유기농 농사를 시작한지 15년 되는 저는 흙살림의 토양미생물배양체인 균배양체를 꾸준히 사용하고 있습니다.

제가 농사짓는 밭에는 땅심이 여느 다른 토질보다 우수하게 살아나고 있습니다. 청주MBC에서 “똥”이라는 제목으로 제가 농사짓는 방법을 세밀하게 관찰하고 검증하여 그해 우수프로그램상을 받는데 일익을 담당하였을 정도로 유기농(순환농사) 농사의 한사례로 보여지기도 했습니다. 이 모든 것이 가능했던 것이 흙살림이 생산해내는 토양미생물 배양체 거름의 탁월한 성분 때문었습니다.

흙살림 거름을 15년 밭에 뿌리결과 저의 밭에서 수확되는 농산물의 맛은 타의 모범이 되고 있습니다. 유기농 농사에 관심있는 분들이라면 누구나 균배양체를 쓰고 싶어합니다. 앞으로도 흙살림의 균배양체를 계속 밭에 뿌리며 땅심을 살리는 농사를 열심히 할 것입니다.

충북 청주시 조동언

본인은 1981년부터 친환경농업에 종사해온 농민으로 흙살림과 이태근씨를 오랫동안 지켜봤습니다.

흙살림을 알게 되면서 과학적인 농업기술을 교육받고 어렵다고 하는 유기농사를 나름대로 성공적으로 이어오고 있습니다. 특히 토양미생물배양체인 균배양체는 그 품질과 효과가 지속적이면서도 우수하여 흙을 살리는 핵심자재로 10여년 전부터 매년 이용하고 있으며 균배양체 없이는 땅을 살리는 일이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충북 청주시 김봉기

균배양체 참좋다. 균배양체가 없는 친환경 유기농 생각해본 적이 없다. 땅을 살리고 흙을 살리는 필수 농자재였다. 많은 교육과 체험장에서 농업기술(친환경) 전파시 필히 균배양체를 쓸 것을 추천하였다. 내가 친환경농업 15~17년동안 친환경농사를 지어오면서 최고의 농자재로 생각한다.

충북 괴산군 이주영

2002년부터 친환경농업에 종사해온 농민입니다. 제가 친환경농업을 시작할 수 있었던 것은 흙살림의 유기농 기술교육과 친환경농사자재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유기농업이란 말조차 생소하던 때에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유기농업을 과학적으로 규명하여 농민교육을 실시하고 관련 자재를 생산하여 공급한 곳은 흙살림이 유일했습니다. 특히 흙살림 균배양체를 사용한바 품질상의 문제가 생긴 적이 한 번도 없고 크게 만족하였습니다. 앞으로도 계속 사용할 계획입니다.

흙살림의 균배양체는 유기농업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흙을 살리는데 있어서 결정적인 자재임이 분명합니다. 미생물이 많이 들어있어 단순한 퇴비 이상의 효능이 있습니다. 친환경농업에 있어서 미생물의 역할과 중요성을 알게 해준게 흙살림균배양체입니다.

앞으로도 흙살림균배양체와 같은 훌륭한 유기농업자재가 많이 개발되고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충북 청주시 조재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