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정보
본문
‘콩의 해’ 토종두류작물<2>강낭콩
강.낭.콩. 강.남.콩., 菜豆, 雲豆, 蕓豆, 雲扁豆, ??爪豆, Kidney bean
학명 Phaceolus vulgaris L.
내력 원산지는 남미 멕시코, 과테말라, 온두라스 등 열대 또는 아열대 지방이다. 우리나라에는 19세기 초에 중국 남쪽 지방에서 들어왔다고 하여 이름이 강낭콩(江南豆)이라고 붙혀진 것이 아닌가 한다.
형태 및 생리 생태 우리나라에서 많이 심고 있는 강낭콩은 완숙종자를 이용하는 field bean이다. 강낭콩은 키가 작고 숙기가 짧아서 감자밭고랑 등 봄에 일찍 파종하여 일찍 수확하므로 감자밭콩 혹은 두벌콩이라고도 부른다. 우리나라의 강낭콩은 낮의 길이에 감응이 둔한 특성으로 순화되어 왔다.
괴산의 토종 강낭콩 우리나라에서 많이 심고 있는 강낭콩은 키가 작게 크는 앉은뱅이강낭콩과 덩굴강낭콩이 있다. 색택은 흰색, 검은색, 자주색, 갈색 및 알록이 등 변화가 많다. 덩굴강낭콩 중에는 종실의 크기가 강낭콩보다 훨씬 크고 색택은 흰색 또는 연보라색 바탕에 검은색 짙은 무늬가 중앙 쪽에 집중되어있는 것이 있으며 강낭콩과는 종이 다르다. 이 콩은 홍화채두라고도 부르는데 학명은haseolus multiflorus 또는 haseolus coccineus이다.
괴산의 토종 강낭콩 Phaceolus vulgaris L.은 군내에 고르게 많이 분포되어 있는데 키가 작은 강낭콩보다 덩굴강낭콩이 수가 더 많다. 키가 작은 강낭콩은 대국콩, 강낭콩, 감자밭콩 등이다. 또 덩굴강낭콩은 울타리콩, 울콩, 덤불양대, 덩굴양대, 호랑이줄콩, 제비콩, 호랑콩, 검은울콩, 흰덤불콩, 덩굴콩, 항우울콩, 쇠이빨콩, 흰양대 등이다. 괴산의 홍화채두Phaseolus multiflorus는 붉은 꽃이 피는 것과 흰 꽃이 피는 것이 있다. 홍화채두는 알이 분홍 바탕에 흑자주색 얼룩이며 크기가 크고 백화채두흰덤불콩은 흰꽃이 피며 알이 희고 크다.


감자밭콩

대국콩

울타리콩

호랑이줄콩

홍화채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