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보기 기부금내역
유기농업기술

페이지 정보

UN이 정한 "콩의 해" 토종 두류작물 소개<1>콩
흙살림 조회수 2,016회 16-02-04 16:00

본문

‘콩의 해’ 토종 두류작물<1> 콩

 

올해는 UN이 정한 '콩의 해'이다.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영양가 높은 곡물'이 슬로건이다. 다 시우바(Jose Graziano da Silva) FAO 사무총장은 "콩은 세계 많은 사람들의 식량안보에 중요한 곡물이다. 특히 라틴 아메리카, 아프리카, 그리고 아시아에서 영양 곡물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소작농에게 커다란 희망이 되고 있다"고 그 배경을 설명했다. 반기문 UN사무총장도 "콩은 여전히 인류에게 중요한 작물이며 특히 질소를 고정해 토양을 비옥하게 하는데 커다란 역할을 하고 있다. 콩과 함께 풍요로운 미래를 열어 가자"고 말했다.

이에 흙살림은 우리의 토종콩을 소개하고자 한다. 점점 경작되는 토지가 줄어들고 있는 콩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해 흙살림이 괴산 지역에서 수집한 다양한 두류작물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大豆, 大荳, 菽, 戌菽, 荏菽, 大菽, 豆, 太, 元豆, 豆子, Soybean

학명 Glycine max (L.) Merrill

내력 콩의 원산지는 중국 동북 지방에서 화베이[華北]에 걸친 지역과 한반도이다. 우리나라는 삼국시대 초기(BC 1세기 초)부터 재배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콩에는 일반적으로 단백질이 40%, 지질이 20%나 들어 있고 당질30% 정도이며 전분은 들어 있지 않은 것이 보통이다. 또 무기질인 칼슘은 쇠고기의 8배, 인은 3배, 철분은 11배, 그리고 비타민 B₁은 10배 정도 많이 들어 있다. 콩에는 불포화 지방산으로 노화와 치매를 방지하는 레시틴이 많이 들어있다. 콩의 색소성분인 이소플라본은 여성 호르몬의 구조와 비슷해 '식물성 에스트로겐'이라고 불린다. 이소플라본은 유방암, 난소암 예방에 도움을 준다.

형태와 생리생태 콩은 뿌리에 많은 뿌리혹박테리아가 공생하므로 공중질소를 고정한다. 종자는 품종에 따라 둥근 모양, 편평하고 둥근 모양 등 다양하고 크기도 매우 다양하여 100알의 무게는 10g이하의 잔 것으로부터 50g이 넘는 굵은 것도 있다. 종자는 황백색?검은 색?연한 갈색?녹색?알록이 등 여러 가지가 있다.

괴산의 토종 콩 콩은 재배가 오래된 작목이므로 품종의 분화가 빨리 시작되었지만, 괴산군의 경우 다양한 콩 품종을 보기 힘들었다. 괴산의 토종 콩은 크게 메주콩, 밥밑콩, 나물콩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메주콩은 대립과 중대립인 것이 주를 이루고, 밥밑콩은 대부분이 서리태 종류이며, 나물콩은 소립의 검은색이 주를 이루었다.

메주콩 중에서 대립은 굵은콩, 흰밤콩, 메주콩 등이 있고, 중대립은 흰콩, 메주콩이 있다. 또 밥밑콩은 검은밤콩을 제외하고는 모두 속이 푸른 서리태이다. 특히 서리태는 중립이며 일찍 익는 편이고, 속이 파랗고 그다지 비리지 않은 특성이 있다.

마지막으로 나물콩은 모두 소립에 검은색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또한 풋콩으로 이용하는 유월두가 있다.

나??.jpg
 나물콩
??쁐.jpg
 유월두
푸 쐜풬태.jpg
 푸른서리태
??.jpg
 흰밤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