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정보
일본의 유기인증 현황
흙살림
조회수 836회
14-07-10 18:47
본문
유기인증현황
■ 유기인증 농가수
이번에는 일본의 유기인증현황을 살펴보도록 한다. 일본에서 유기인증을 받은 총 생산행정관리자 (농가그룹 포함) 는 3,207개로 이 가운데 총 농가수는 3,838호인 것으로 나타났다 (표1). 인증을 받은 유기농가는 지난 7년간 2011년을 제외하고 4천 호를 넘지 못하고 있다 (표2). 유기인증을 받은 포장의 총 면적은 9,529ha로 나타났으며, 이는 국내 경지면적 454만9,000ha (2012년 7월 현재) 가운데 약 0.22%에 그치고 있다. 유기인증 포장 중에서는 보통밭이 50.1%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했으며 다음으로 논이 33.0%로 많았다.
표1. 유기인증사업자수(2013년 3월 31일 현재)
|
|
생산행정관리자 |
재포장취급자 |
수입업자 |
합계 |
농가호수 | |
|
|
유기농산물 | |||||
|
국내 |
3,207 |
2,130 |
842 |
193 |
4,242 |
3,838 |
|
외국 |
1,954 |
941 |
219 |
|
2,173 |
|
|
합계 |
5,161 |
3,071 |
1,061 |
193 |
6,415 |
|
자료: 농림수산성
주: 농가호수는 실제 수보다 적을 수 있음.
표2. 유기농가수 추이(단위: 호)
|
2006년도 |
2007년도 |
2008년도 |
2009년도 |
2010년도 |
2011년도 |
2012년도 |
|
2,258 |
3,319 |
3,830 |
3,815 |
3,994 |
4,009 |
3,838 |
자료: 농림수산성
표3. 유기JAS인증 포장 면적(2013년4월1일 현재)
|
|
합계
(①+②+⑥) |
①논 |
⑥ 밭(③+④+⑤) |
⑥그 외 | |||
|
|
③보통밭 |
④과수원 |
⑤목초지 | ||||
|
합계(ha) |
9,529 |
3,149 |
6,365 |
4,778 |
1,077 |
510 |
16 |
|
비율(%) |
100 |
33.0 |
66.8 |
50.1 |
11.3 |
5.4 |
0.2 |
자료: 농림수산성
주: 1) 논이란 담수설비와 용수를 공급할 수 있는 설비를 가진 경지를 말함. 밭이란 논 이외의 경지를 말하며 통상적으로 밭으로 불리는 보통밭 외에 과수원과 목초지도 포함한다. 그 외란 버섯재배를 위한 채집장 등을 말함.
2) 전환기간 중인 것도 통계조사의 대상으로 함.
■ 비인증 유기농가수
이는 지난 호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본의 유기인증제도는 유기농업에 대한 종합적인 지원책이나 방향을 설계한 것이 아니었다는 점에서 유기농가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준다고 하겠다. 대신에 일본에서는 소비자와의 신뢰관계를 바탕으로 하는 제휴관계가 주를 이룬다고 소개했는데, 그렇다면 비인증 유기농가는 얼마나 존재하는 것일까.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2011년에 농림수산성에서 처음으로 비인증 유기농가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전국 규모의 조사를 실시하게 되었다. 그 결과, 비인증 유기농가수는 7,865호인 것으로 추계되었다. 한편 보고서에서는 이 보다 더 많은 수의 농가가 유기농업을 실천하고 있을 것으로 내다보았다. 이 숫자는 같은 해인 2009년도 현재의 인증 유기농가수 (3,815호) 와 비교하면 약 2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거 5년간 인증농가의 증가율은 4천호 선을 넘지 못하고 있는 것에 반해 비인증 농가는 매년 약 20%씩 꾸준히 증가하고 잇는 것으로 나타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