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정보
FIBL 연구(4월호)
흙살림
조회수 482회
14-04-04 10:03
본문
유기농업은 토양 양분을 파내기만 하는가
인산과 칼륨의 마이너스 양분균형은 이러한 원소들이 쉽게 가용화되는 부분의 감소로 연결된다. 그러나 토양내에 비축된 양분은 덜 극적으로 감소하였다. 가용성 인산이 유기시스템에서 낮았음에도 불구하고 인산 결핍은 아직까지 관찰되지 않았다. 이것은 고형화된 형태와 토양용액 사이에서 원소들의 증가된 이동과 더 높은 미생물적 활성 때문이라고 설명될 수 있다(식물과학연구소, ETH-Z?ich에서 한 조사).
유기농업은 토양구조를 개선하는가
유기적 토양관리는 토양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서
토양구조를 개선하고 유실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토양비옥도의 구축은 지속가능한 토지이용의 중요한 목표이다. 스위스의 <토양영향에 관한 조례>는 토양이 그 위치에서 종이 풍부하고, 생물학적으로 활력있는 생물 공동체를 제공한다면, 그리고 특유한 토양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교란되지 않는 분해를 허용한다면 그 토양이 비옥하다고 정의한다. 유기물은 토양구조의 생성과 안정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다. 실트 및 양토는 유기물이 입자적 구조를 강화하기 때문에 도움이 된다. 유기물은 하전된 점토 미네랄의 표면에 부착한다. 음전하는 입자 크기가 커지면서 감소한다. 실트는 전기를 띠지 않기 때문에 쉽게 유실될 수 있지만 실트 표면에 있는 유기물층은 실트와 입자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DOK 시험의 결과는 토양 구조를 유지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것이 토양 답압으로 이어지는
무거운 기계를 신중하게 사용하는 것만이 아니라는 점이다. 시비와 작물보호 전략도 더 좋
은 토양구조로 연결되는 토양의 생물학적 과정이 지원되는 방향으로 설계되어야 한다는 것
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