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정보
국민으로부터 사랑받는 친환경농업의 길
흙살림
조회수 312회
14-03-21 21:33
본문
국민으로부터 사랑받는 친환경농업의 길

<황민영: 국민농업포럼 대표>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사회적 관심 확대
우리나라도 이제 친환경농업, 유기농업이 농업과 식품시장에서 대세로 정착되고 있다. 최근 식품에 대한 안전성이 빈발하면서, 특히 친환경농업, 유기농산물이 소비자들로부터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친환경농업이라는 말에 대하여 거부감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모든 농업이 환경적이어야지, 어떤 것은 친환경이고, 어떤 것은 반환경적인가. 어찌되어든 적어도 사람이 일상적으로 먹는 식품은 친환경적이어야 하고 안전해야 한다. 그것은 생산자인 농민의 책임이요, 제1의 덕목이어야 할 것이다.
친환경농산물 시장, 신뢰성이 관건
최근에 정부는 적극적으로 친환경농업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모든 농업정책이 친환경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이다. 이에 따라 지자체에서도 적극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농민들도 이제 친환경, 유기농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고, 일정한 성과가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현장에서는 부정적인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우리가 우려하는 것은 한두 사람의 잘못으로 인하여, 다수의 선의의 피해자가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아직 소비자의 친환경, 유기농산물에 대한 이해와 신뢰가 약한 현실에서, 수요보다 공급이 과잉인 조건에서, “공공의 적”이 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관행농업, 비료, 농약에 의존하던 농업을 일시에 떨쳐버리고, 친환경, 더욱이 유기농업단계로 발전한다는 것은 쉽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친환경농업, 유기농업정책은 중장기적 전망을 갖고 체계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현실은 우리의 편이 아니다. 그것은 농산물 시장개방에 따라 우리보다 한발 앞서 발전해 온 외국의 유기농산물, 식품들이 몰려오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수입 제품이 모두 우수하고 안전하다는 생각은 아니다. 다만 그 경쟁력이 만만치 않다는 점이다. 그럴수록 우리의 친환경, 유기농산물 제품은 소비자로부터 신뢰를 받을 수 있는 철저하고 구체적인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생산자가 농산물 안전성에 대한 신뢰감 줘야
누가 할 것인가? 친환경농업, 유기농업의 주체는 생산자인 농민이다. 소비자의 깊은 배려가 필요하지만, 소비자는 소비자일 뿐이다. 소비자들이 친환경농업에 대하여 이해하고, 유기농산물을 구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생산자의 몫이다. 생산농민들이 친환경농업, 유기농업. 생태농업, 순환농업 등을 통한 농산물이 소비자들로부터 지속적으로 사랑을 받으려면, 품질도 우수해야 하지만 안전성이 필수조건이다. 그것도 일시적인 신뢰가 아닌 신뢰가 지속되어야 한다. 신뢰는 사람을 안심(安心)시키게 된다. 물건을 신뢰하기에 앞서 사람, 공급자가 신뢰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 얼굴이 있는 상품, 거기에는 소비자의 건강, 삶을 책임지는 마음이 깃들여야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는 몇몇 사람의 양심에만 맡길 수 없다. 생산자들이 공동으로 책임을 지는 시스템이 확립되어야 한다. 그래야 효율적으로 친환경, 유기농업이 발전할 수 있고, 전체가 성장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은 이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유기, 친환경농업이라는 공동의 목적을 위하여 보다 강력한 감시, 감독체계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확고한 친환경농업 철학으로 국민적 신뢰, 농업정책 견인해야
이제 우리나라 친환경, 유기농업도 국제적으로 인정을 받는 국가로 성장했다. 그 결과물이 2011년 국제유기농업대회의 유치이다. 이 대회를 계기로 명실상부하게 우리나라 농업이 세계적으로 안전성을 인정받을 수 있도록 준비되어야 한다. 그러나 친환경, 유기농업의 현장은 매우 열악하다. 중앙정부가 다양한 정책적 세우고, 지방 자치체도 나서고 있지만, 농가로서는 충분치 않다. 농민들과 정부가 지속가능한 농업, 친환경, 유기농업의 확대를 위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나서야 한다. 정부의 정책이 중요하기는 하지만, 농민들의 친환경, 유기농업에 대한 의지, 철학이 확립되어야 보다 강력한 정부의 정책을 견인해 낼 수 있을 것이고, 소비자인 국민적 신뢰를 이끌어 낼 수 있다. 국민으로부터 사랑을 받는 우리농업의 방향은 친환경, 유기농업의 길 이외에는 없다.
우리나라는 국토는 좁고 인구는 많다. 더욱이 경지면적이 좁고 식량자급률은 OECD 국가 중 하위권이다. 그런데도 식량주권이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한 의식이 박약하다 못해 무지하다. 식량주권은 한 나라의 생존권, 품위와 직결되어 있다. 기후온난화시대, 에너지, 식량위기시대, 안정과 안전성이 담보되지 않는 식량을 수입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구조는 나라와 백성의 안위를 지켜낼 수 없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세계 각국은 자원전쟁, 특히 식량위기를 대비하고자, 중장기적이고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음을 주시해야 한다.
이 일에서 친환경농업인들이 앞장서기 위한 실천적 행동프로그램을 만들고 나서야 한다. 남 탓을 하기보다 내가 솔선하여야 한다. 그래야 국민인 소비자로부터 사랑받는 농업, 친환경, 유기농업국가로 인정을 받게 될 것이다.
우리나라도 이제 친환경농업, 유기농업이 농업과 식품시장에서 대세로 정착되고 있다. 최근 식품에 대한 안전성이 빈발하면서, 특히 친환경농업, 유기농산물이 소비자들로부터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친환경농업이라는 말에 대하여 거부감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모든 농업이 환경적이어야지, 어떤 것은 친환경이고, 어떤 것은 반환경적인가. 어찌되어든 적어도 사람이 일상적으로 먹는 식품은 친환경적이어야 하고 안전해야 한다. 그것은 생산자인 농민의 책임이요, 제1의 덕목이어야 할 것이다.
친환경농산물 시장, 신뢰성이 관건
최근에 정부는 적극적으로 친환경농업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모든 농업정책이 친환경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이다. 이에 따라 지자체에서도 적극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농민들도 이제 친환경, 유기농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고, 일정한 성과가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현장에서는 부정적인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우리가 우려하는 것은 한두 사람의 잘못으로 인하여, 다수의 선의의 피해자가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아직 소비자의 친환경, 유기농산물에 대한 이해와 신뢰가 약한 현실에서, 수요보다 공급이 과잉인 조건에서, “공공의 적”이 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관행농업, 비료, 농약에 의존하던 농업을 일시에 떨쳐버리고, 친환경, 더욱이 유기농업단계로 발전한다는 것은 쉽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친환경농업, 유기농업정책은 중장기적 전망을 갖고 체계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현실은 우리의 편이 아니다. 그것은 농산물 시장개방에 따라 우리보다 한발 앞서 발전해 온 외국의 유기농산물, 식품들이 몰려오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수입 제품이 모두 우수하고 안전하다는 생각은 아니다. 다만 그 경쟁력이 만만치 않다는 점이다. 그럴수록 우리의 친환경, 유기농산물 제품은 소비자로부터 신뢰를 받을 수 있는 철저하고 구체적인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생산자가 농산물 안전성에 대한 신뢰감 줘야
누가 할 것인가? 친환경농업, 유기농업의 주체는 생산자인 농민이다. 소비자의 깊은 배려가 필요하지만, 소비자는 소비자일 뿐이다. 소비자들이 친환경농업에 대하여 이해하고, 유기농산물을 구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생산자의 몫이다. 생산농민들이 친환경농업, 유기농업. 생태농업, 순환농업 등을 통한 농산물이 소비자들로부터 지속적으로 사랑을 받으려면, 품질도 우수해야 하지만 안전성이 필수조건이다. 그것도 일시적인 신뢰가 아닌 신뢰가 지속되어야 한다. 신뢰는 사람을 안심(安心)시키게 된다. 물건을 신뢰하기에 앞서 사람, 공급자가 신뢰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 얼굴이 있는 상품, 거기에는 소비자의 건강, 삶을 책임지는 마음이 깃들여야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는 몇몇 사람의 양심에만 맡길 수 없다. 생산자들이 공동으로 책임을 지는 시스템이 확립되어야 한다. 그래야 효율적으로 친환경, 유기농업이 발전할 수 있고, 전체가 성장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은 이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유기, 친환경농업이라는 공동의 목적을 위하여 보다 강력한 감시, 감독체계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확고한 친환경농업 철학으로 국민적 신뢰, 농업정책 견인해야
이제 우리나라 친환경, 유기농업도 국제적으로 인정을 받는 국가로 성장했다. 그 결과물이 2011년 국제유기농업대회의 유치이다. 이 대회를 계기로 명실상부하게 우리나라 농업이 세계적으로 안전성을 인정받을 수 있도록 준비되어야 한다. 그러나 친환경, 유기농업의 현장은 매우 열악하다. 중앙정부가 다양한 정책적 세우고, 지방 자치체도 나서고 있지만, 농가로서는 충분치 않다. 농민들과 정부가 지속가능한 농업, 친환경, 유기농업의 확대를 위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나서야 한다. 정부의 정책이 중요하기는 하지만, 농민들의 친환경, 유기농업에 대한 의지, 철학이 확립되어야 보다 강력한 정부의 정책을 견인해 낼 수 있을 것이고, 소비자인 국민적 신뢰를 이끌어 낼 수 있다. 국민으로부터 사랑을 받는 우리농업의 방향은 친환경, 유기농업의 길 이외에는 없다.
우리나라는 국토는 좁고 인구는 많다. 더욱이 경지면적이 좁고 식량자급률은 OECD 국가 중 하위권이다. 그런데도 식량주권이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한 의식이 박약하다 못해 무지하다. 식량주권은 한 나라의 생존권, 품위와 직결되어 있다. 기후온난화시대, 에너지, 식량위기시대, 안정과 안전성이 담보되지 않는 식량을 수입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구조는 나라와 백성의 안위를 지켜낼 수 없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세계 각국은 자원전쟁, 특히 식량위기를 대비하고자, 중장기적이고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음을 주시해야 한다.
이 일에서 친환경농업인들이 앞장서기 위한 실천적 행동프로그램을 만들고 나서야 한다. 남 탓을 하기보다 내가 솔선하여야 한다. 그래야 국민인 소비자로부터 사랑받는 농업, 친환경, 유기농업국가로 인정을 받게 될 것이다.
<이 자료는 비상업적인 용도를 위해 인용, 복제할수 있습니다. 다만, 출처(출처:흙살림)를 반드시 밝혀 주시기 바라며 개작은 허용하지 않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