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정보
미국의 지역공동체 소비자들은 왜 유기농산물을 소비할까?
흙살림
조회수 743회
14-03-21 21:20
본문
미국의 지역공동체 소비자들은 왜 유기농산물을 소비할까?
지난 호에서 미국의 ‘지역공동체의 지원에 기반한 농업 (CSA)’에 참여하는 농민들의 면접조사결과를 소개하였다. 이번호에는 공동체에 참여하는 소비자들의 동기 및 과제 등에 관한 설문조사결과를 소개한다.
소비자회원은 30∼40대 여성이 주로 차지
설문조사에 응한 276명의 CSA 소비자회원들의 대부분은 대도시 교외에 거주하고 있는 30-49세의 여성들이며, 소득수준은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회원들의 많은 수가 CSA에 참여하기 전에 유기식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었으며, 전체의 30% 정도가 가족 중에 채식주의자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부분의 회원들은 CSA경험이 처음이며, 75%이상의 참여회원들이 2년 이하의 경험을 보유한 것으로 응답하였다.
참여동기는 신선한 지역 유기농산물 구매
소비자회원들은 신선하고 유기농법으로 재배된 지역농산물에 대한 강한 선호와 지역농민 혹은 농업에 대한 지원을 CSA에 참여하게 된 가장 큰 동기로 부여하고 있다. CSA는 소비자회원들의 농장활동에 대한 참여 (예를 들면, 일손돕기 혹은 농사축제)를 중요한 요소를 설정하고 있지만, 실제로 약 50% 이상의 소비자회원들은 이러한 활동에 전혀 참여하지 않고 있다. 가장 큰 이유는 바쁜 일상생활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회원들은 채소와 과일의 수확기간 동안에 매주 자신들의 지분액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3분의 2에 해당하는 소비자회원들은 CSA에 참여하게 되어 섭취하는 농산물의 종류가 늘어났으며, 절반 이상은 섭취하는 농산물의 양도 늘어났다고 응답하였다.
76% 이상의 소비자회원이 만족을 느끼고 있다고 응답
소비자회원들은 현재 가입하고 있는 CSA가 자신들의 기대에 부응(전체의 56%)하거나 기대이상 (전체의 20%)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그 이유는 CSA로부터 받은 농산물의 신선함과 품질 때문이며, 농민과의 교류나 CSA의 사회적 목표 측면 등은 부차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부분의 소비자회원들은 농작물의 작황에 따라 분배받는 농산물의 양과 다양성이 해마다 변화하는 것에 대해서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소비자회원들이 농업의 생산위험을 농민들과 공동으로 분담하겠다는 적극적인 의지의 표현인 것으로 파악된다.
구매의 불편함이 가장 큰 소비자 불만
조사된 소비자회원들 중 약 30%는 현재 가입해있는 CSA를 다음 해에는 이용을 하지 않거나 다른 CSA로 이동하겠다고 응답하였다. 가장 큰 이유는 매주 자신의 농산물 몫을 찾아오는 것과 관련된 시간 및 교통상의 불편함이 지적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자신이 지불하는 출자액에 비해서 농산물의 양과 종류가 부족하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마지막으로 CSA에 오랫동안 가입한 회원들은 CSA가 오래 운영될수록 자신들의 몫으로 배분되는 농산물의 양과 종류가 늘어날 것이라고 믿는 경향이 강하였으며 이들은 연령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는 CSA 설립 및 운영 초기의 어려움 (농민과 소비자회원간의 신뢰 및 미래에 대한 투자의지의 부족에서 기인하는)을 극복하는데 큰 시사점을 주는 대목이다.
설문조사에 응한 276명의 CSA 소비자회원들의 대부분은 대도시 교외에 거주하고 있는 30-49세의 여성들이며, 소득수준은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회원들의 많은 수가 CSA에 참여하기 전에 유기식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었으며, 전체의 30% 정도가 가족 중에 채식주의자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부분의 회원들은 CSA경험이 처음이며, 75%이상의 참여회원들이 2년 이하의 경험을 보유한 것으로 응답하였다.
참여동기는 신선한 지역 유기농산물 구매
소비자회원들은 신선하고 유기농법으로 재배된 지역농산물에 대한 강한 선호와 지역농민 혹은 농업에 대한 지원을 CSA에 참여하게 된 가장 큰 동기로 부여하고 있다. CSA는 소비자회원들의 농장활동에 대한 참여 (예를 들면, 일손돕기 혹은 농사축제)를 중요한 요소를 설정하고 있지만, 실제로 약 50% 이상의 소비자회원들은 이러한 활동에 전혀 참여하지 않고 있다. 가장 큰 이유는 바쁜 일상생활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회원들은 채소와 과일의 수확기간 동안에 매주 자신들의 지분액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3분의 2에 해당하는 소비자회원들은 CSA에 참여하게 되어 섭취하는 농산물의 종류가 늘어났으며, 절반 이상은 섭취하는 농산물의 양도 늘어났다고 응답하였다.
76% 이상의 소비자회원이 만족을 느끼고 있다고 응답
소비자회원들은 현재 가입하고 있는 CSA가 자신들의 기대에 부응(전체의 56%)하거나 기대이상 (전체의 20%)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그 이유는 CSA로부터 받은 농산물의 신선함과 품질 때문이며, 농민과의 교류나 CSA의 사회적 목표 측면 등은 부차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부분의 소비자회원들은 농작물의 작황에 따라 분배받는 농산물의 양과 다양성이 해마다 변화하는 것에 대해서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소비자회원들이 농업의 생산위험을 농민들과 공동으로 분담하겠다는 적극적인 의지의 표현인 것으로 파악된다.
구매의 불편함이 가장 큰 소비자 불만
조사된 소비자회원들 중 약 30%는 현재 가입해있는 CSA를 다음 해에는 이용을 하지 않거나 다른 CSA로 이동하겠다고 응답하였다. 가장 큰 이유는 매주 자신의 농산물 몫을 찾아오는 것과 관련된 시간 및 교통상의 불편함이 지적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자신이 지불하는 출자액에 비해서 농산물의 양과 종류가 부족하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마지막으로 CSA에 오랫동안 가입한 회원들은 CSA가 오래 운영될수록 자신들의 몫으로 배분되는 농산물의 양과 종류가 늘어날 것이라고 믿는 경향이 강하였으며 이들은 연령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는 CSA 설립 및 운영 초기의 어려움 (농민과 소비자회원간의 신뢰 및 미래에 대한 투자의지의 부족에서 기인하는)을 극복하는데 큰 시사점을 주는 대목이다.
조사 대상 ‘지역공동체의 지원에 기반한 농업 (CSA)’ 농장 개요
농장 1
농장 2
농장 3
농장 4
설립연도
1999
1997
2001
1996
CSA 몰입정도
거의 몰입, 남는 농산물은 지역음식점에 판매
거의 몰입, 남는 농산물은 건강식품점이나 학교에 판매
CSA에 50% 의존, 지역음식점에 판매, 낙농제품 판매
CSA에 전적으로 의존
CSA를 위한 농장규모
1.6 정보
2.4 정보
3.2 정보
1.2 정보
총 발행 지분수
110
150
230
58
지분당 가격
475-600 달러, 회원들의 픽업 장소나 농장에 대한 노동력제공 여부에 의해 결정
270-950 달러
560 달러
425 달러 / 2분의 1지분은 245 달러
수확기 픽업 기간
25 주
26 주
24 주
24-25 주
추정 회원갱신율
50%
(연 평균)
50% 미만
(연 평균)
30%
(2001-2002)
70%
(2001-2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