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보기 기부금내역
농업동향

페이지 정보

미국의 농민들과 소비자들은 왜 지역공동체의 지원에 기반한 농업(CSA)에 참여할까?
흙살림 조회수 420회 14-03-21 21:20

본문

미국의 지역공동체 참여 농가, 소비자 설문조사 결과-上
미국의 농민들과 소비자들은 왜 지역공동체의 지원에 기반한 농업(CSA)에 참여할까?

 
지난 호에서 미국에서 유기농업 소규모 가족농들이 지역의 소비자들과 직접적인 거래관계를 형성하는 소위 ‘지역공동체의 지원에 기반한 농업 (ommunity-supported agriculture; CSA)’을 추진하는 흐름을 개관한 바 있다. 이번 호부터 2회에 걸쳐 CSA에 참여하는 농민들과 소비자들의 동기 및 과제 등에 관한 인터뷰와 설문조사 결과를 소개한다. (보고서 원본은 다음 웹사이트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함,
www.smallfarmsuccess.info).
이 결과는 미국 메릴랜드 대학의 ‘소규모농민성공프로젝트’ 팀이 2001년과 2003년에 미국의 동부지역의 메릴랜드, 펜실바니아, 버지니아 주에 분포되어 있는 13개 CSA 농장을 운영하고 있는 농민들에 대한 면접조사와 4개 CSA 농장에 참여하고 있는 276명의 소비자들로부터 회수된 설문조사내용의 분석에 기초한 것이다. 금번호에는 농민들에 대한 면접조사결과부터 소개하기로 한다.
인터뷰에 참가한 13명의 농민들의 평균 농사경력이 11년 정도이며, CSA를 시작한 지는 약 4.2년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농민들의 평균 경작규모는 6에이커 (약 2.4정보)로 소규모이며 유기농법을 채택하고 있었다. 13명의 농민들 중 6명이 농업소득을 CSA에 전적으로 의존하며 나머지 농민들은 농민시장, 인근 레스토랑 및 지역 자연식품점 등에도 출하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CSA마다 출자좌수와 지분당 가격이 차이가 있지만 80주의 출자좌수와 1주당 465 달러(약 64만원)를 설정하고 있는 CSA들이 가장 많았다.
13명의 농민들 대부분은 CSA가 재배시작 전에 농사자금을 확보하게 해줄 수 있다는 점을 CSA를 시작한 가장 큰 경제적 동기로 지적하였다. 인터뷰한 대부분의 농민들은 강한 환경윤리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유기농법이 CSA의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믿고 있었다. 그러나 CSA가 내포하고 있는 ‘협동사회의 구축’이라고 하는 측면에 대해서는 3명의 농민들만이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CSA 농민들의 가장 큰 고민은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는 소비자들의 유동성이 높다는 점이었다. 13개의 CSA에 참여하고 있는 소비자들의 참여지속율은 5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민들은 농산물의 품질, 양, 농산물의 다양성, 그리고 농산물 선택의 폭 등이 회원소비자들의 참여지속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주간소식지나 소비자회원과의 개별접촉 등 소통의 원활성이 그 다음으로 중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소비자회원의 모집은 대부분 구두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역신문 등에서의 CSA기사의 소개 등이 회원모집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13명 농민들의 평균 농업조수입은 약 5만 1천 달러(약 7,000만원)이며, 이중 CSA로부터의 평균조수입은 3만 5천달러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된 농민들의 대부분은 CSA가 농업지출을 충당해주고 있다고 보며, 일부 농민들은 만족할 만한 노동의 대가를 보장해주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조사된 많은 농민들은 CSA만으로는 생활비를 충당하기 어려워 농외소득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달에는 CSA에 참여하는 소비자회원에 대한 설문조사결과를 소개한다.
 
<글: 장종익(농업경제학 박사, 전 협동조합연구소 소장)>
 
<이 자료는 비상업적인 용도를 위해 인용, 복제할수 있습니다. 다만, 출처(출처:흙살림)를 반드시 밝혀 주시기 바라며 개작은 허용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