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정보
친환경농산물 시장규모 2020년에는 8조원 넘을듯
흙살림
조회수 821회
14-03-21 21:03
본문
특별기고 - 친환경농산물 시장규모 2020년에는 8조원 넘을듯
김창길,김태영,이상건(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이 자료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정연구속보(제41권, 2007. 6. 4)로 발간된 「국내외 친환경농산물의 생산실태 및 시장전망」 자료를 중요부분만 발췌한 것임. 전문은 정보지(2007년 8월 발행) 참조.
국내 친환경농산물 시장 1조원대 넘어
WTO, FTA 등으로 농산물 시장개방화가 확대되면서 친환경농업이 미래농업의 성장 동력원으로 적극 육성정책을 추진함에 따라 친환경농산물 생산은 1990년대 후반 이후 매년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안전한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유기가공품의 원료로 수입유기농산물의 인증물량이 크게 증가하고 있고, 이 가운데 중국의 유기농산물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친환경농산물 시장은 수급 규모의 증가에 따라 작년에 1조 3,000억원대로 급성장하였다. 친환경농산물이 전체 농산물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 내외로 아직은 미약한 수준으로 틈새시장(niche market)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친환경농산물 시장은 향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여 2010년쯤에는 전체농산물 시장의 10% 정도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세계적으로도 웰빙 트렌드의 확산으로 유기농산물의 생산과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소득수준이 높은 북미와 유럽지역을 중심으로 1990년 이후 매년 10% 이상의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아시아권에서 중국은 친환경농산물을 전략적 수출농산물로 육성하고 있어 친환경농업이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는 반면, 일본은 국내산 친환경농산물의 부족으로 인하여 해외인증 친환경농산물 수입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 연평균 82.4% 증가
우리나라 친환경농산물 인증실적은 1990년대 후반 이후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연도별 국내생산 친환경농산물 인증실적을 보면, 농가수는 2000년 2,448호에서 2006년 79,635호로 매년 78.7% 증가, 인증면적은 2000년 2,039ha에서 2006년 74,995ha로 매년 82.4% 증가, 인증량은 2000년 35,406톤에서 2006년 1,128,093톤으로 매년 78.1%의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유기농산물이 2000년 296ha에서 2006년 8,559ha로 매년 75.2% 증가하였고, 무농약농산물은 2000년 876ha에서 2006년 18,066ha로 매년 65.6% 증가, 저농약농산물은 2000년 867ha에서 2006년 48,371ha로 매년 95.5%가 증가하여 저농약농산물 인증이 가장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친환경농산물 시장규모는 친환경농법별 재배면적에 단수를 적용하여 생산량을 추정하고 농법별로 시장으로 판매되는 양을 추정한 후, 유통업체의 수수료, 유통비용, 판매가격 등을 고려하여 개략적인 추정이 가능하다. 2006년도 우리나라 친환경농산물 시장에서 거래되는 총규모는 1조 3,106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표 1. 친환경인증 농산물의 시장 유통규모(2006년 기준)
단위: 억원, % | |||||||
|
구 분 |
곡 류 |
|
채소류 |
과실류 |
서류 |
특작류 |
계 |
|
|
쌀 | ||||||
|
유통규모 |
3,678 |
2,923 |
4,081 |
3,178 |
216 |
1,953 |
13,106 |
|
비중(%) |
28.1 |
22.3 |
31.1 |
24.2 |
1.6 |
14.9 |
100.0 |
|
| |||||||
친환경농산물의 시장 유통규모 전망
앞으로 친환경농산물 시장(소매단계)은 지속적인 성장이 전망되나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성장세가 점차적으로 둔화될 것으로 가정하여 시장규모를 전망하면, 올해 친환경농산물 거래규모는 2006년 대비 27% 정도 증가한 1조 6,651억원, 2010년에는 2006년 대비 2.4배 정도 증가한 3조 1,974억원으로 추정된다. 또한 2013년에는 4.1배 정도 증가한 5조 4,050억원, 2015년에는 5.4배 증가한 약 7조 208억원, 2020년에는 6.8배 증가한 8조 8,633억원으로 나타났다<표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