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정보
본문
IFOAM의 ‘농업과 가치사슬을 위한 최선의 실행 지침’
E. 경영관리 차원
2. 투명성과 보고
가치와 지침
● 모든 가치사슬 수행자들은 그들의 행동에 있어 투명성에 전념해야 한다. 진정한 투명성은 목적의 진정성, 의사소통하고 관계를 형성하고자 하는 욕망, 피드백을 수용하는 개방성 및 개선하고자 하는 의지를 반영한다. 투명성은 또한 이 섹션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보고가 공개적으로 유효하다는 것도 수반한다. 투명성은 논의하에 있는 전체 화제 범위에 근거하여 어떤 측면들이 다뤄지고 있고 가치 사슬에 있는 어떤 활동가들이 망라되는지 분명히 언급될 때만 타당하다.
● 시장 예측은 소비자들이나 시장을 인도하여 농부들과 기타 가치사슬 활동가들이 참여적인 보증 시스템이나 유기 인증과 같은 추가적인 보증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요구할 수 있다. 로컬 파머스 마켓(농부시장)이나 로컬 매장에서 판매하는 농부들은 고객들과 대화를 하거나 고객들을 농장에 초대함으로써 고객들의 신뢰와 지지를 얻을 수 있다. 가치사슬의 위쪽 접점에 대한 지식과 친근함은 더 많은 신뢰를 낳고 서류로 된 증거를 덜 요구하는 경향이 있다.
● 지속가능성에 관련된 행동에 관한 의사소통은 다음에 한정되지 않는 여러 가지 목적을 제공한다:
○ 개인의 성취, 도전 및 계획 즉 이력을 상세히 제공함으로써, 스스로 혹은 남에 의해 재검토될 수 있다.
○ 개인의 성취, 도전, 니즈 및 고객이 정보에 의한 구매 선택을 하도록 돕는 계획 보고
○ 실행자, 연구자, 정책 입안자 혹은 가치사슬에 직접 포함되지 않은 다른 이해관계자들 교육
● 지표와 평가는 향상과 절대적인 성과를 모니터하고 보고하는 가치 있는 도구다. 초기 베이스라인을 잡는 것은 시간이 경과하여 이행된 진행을 평가할 수 있게 한다. 목표를 분명히 하고 그들이 조직 내외 모두에서 관련성을 가진다는 것을 보장하는 것은 보다 넓은 규모의 학습 및 마음이 같은 조직과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이 자료에서 논의된 목표들에 부합하는 것이 이들 실행들의 궁극적인 목표가 되어야 한다.
● 전체 비용을 관리하고 라이프사이클(생애주기)를 분석하는 것은 오직 규모가 큰 회사에서만 기대될 수 있다. 보고와 관리가 모든 참여자에게 불필요한 짐이 되어서는 안 된다. 대체로 참여자가 가지는 영향의 범위가 클수록 보고의 필요는 더 커진다.
● 그 자신의 모니터링과 평가를 수행하는 각 운영체에 더하여, 한 운영체의 평가를 다른 운영체 또는 객관적인 지속가능성 목표 또는 성과 평가지표(또는 내정 값)와 비교하는 것은 유용할 수 있다. 이것은 보다 넓은 규준에 대해 또는 부문이나 활동을 바탕으로 성과를 판단할 수 있게 한다.
● 다음을 하기 위해 주어진 측면에 있어서 공통적인 벤치마크나 기준(또는 내정 값)에 대해 성과 평가를 할 수 있다:
○ 어떤 활동의 영향을 같은 종류의 작업을 하는 다른 활동과 비교
○ 생산자 유형(예, 유기 생산자, 커피농장 또는 가공 운영체)에 의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행이나 생산 측면에 있어 총체적인 성과를 다른 부문(예, 관행적인 생산자, 사탕수수 농장 또는 다른 유형의 가공 운영체)과 비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