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보기 기부금내역
농업동향

페이지 정보

IFOAM의 ‘농업과 가치사슬을 위한 최선의 실행 지침’ 문화적 차원
흙살림 조회수 738회 15-11-03 14:05

본문

IFOAM의 ‘농업과 가치사슬을 위한 최선의 실행 지침’

D. 문화적 차원 : 영감, 혁신, 리더십, 그리고 이타심이 가능하다. 공동체는 안정되고 번성한다.

 

설명 : 개인적 성장과 만족을 위해 그 자신의 영감의 원천에 연결할 수 있어야 된다. 혼자 일하거나 다른 사람들과 함께 일하는 개인들의 아이디어와 행동은 세상에서 삶의 질의 지속적인 향상의 근원을 형성한다. 개인과 지역사회의 발전은 상호 의존적인 현상이다.

 

목표 : 개인적 성취와 집단의 이득을 위해 개인의 아이디어들이 장려된다. 개인의 역량 제고와 사회적 이익을 위해 가치, 지식, 역량 및 의식의 종합적인 개발이 지속되고 있다.

 

1. 개인의 성장과 지역사회의 발전

가치와 가이드라인

● 문화와 지식 체계의 다양성은 풍부한 아이디어, 혁신, 일체감 및 다른 지역들에 적응된 문화를 제공한다. 풍부한 지식을 교환함으로써 지역사회에 문화, 예술, 철학 및 과학을 통해 삶의 질을 증진하는 방식에 관한 더 많은 통찰을 제공한다.

● 문화는 지역사회에 있는 개인들의 영감, 독창성, 창조성, 리더십 및 협동을 반영한다. 우리는 사회가 직면한 지속적인 도전에 대응하는 데 필요한 아이디어와 혁신의 지속적인 창출을 중시하고 촉진하기 위해 노력한다.

● 리더십은 독립적인 사고와 행동으로부터 온다. 우리는 개인들이 다양한 아이디어를 내고 공유하고, 학습과 지식을 보여주며, 가족, 집단 및 지역사회의 복지에 기여하도록 개인들을 격려하고 권한을 준다.

● 우리는 농촌지역에서 도시로 사람들의 이주 증가가 두 지역 모두를 불안정하게 한다는 것을 우려한다. 농촌지역에서 사람들의 이탈은 노동력과 아이디어, 영감, 활동의 다양성과 고용 기회의 상실을 초래하며, 이 모든 것은 역으로 문화의 빈곤으로 이끈다. 도시로 새로운 인구의 유입은 사회기반시설과 공공 서비스에 긴장을 초래한다. 그것은 또한 고용 경쟁을 심화하고 인구밀도가 높은 지역과 그들이 의존하는 농촌의 농업 공급기반 사이에 훨씬 많은 불균형을 초래할 수도 있다.

 

2. 식량안보와 식량 주권

가치와 가이드라인

● 어느 주어진 지역에서 식량 공급을 풍부하게 하는 것은 보다 넓은 사회적 정치적 안정성을 선도한다. 식량주권은 모든 사람들이 그들 자신의 식량생산과 소비 선택을 추구할 권리가 훼손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 지속가능한 식사는 지역 경제를 도울 뿐만 아니라 건강과 식량안보를 위해 지역에서 먹거리를 해결하는 것과 연관된다. 다양한 (전통적인) 생산물을 지역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면 보다 완전한 영양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민의 문화적 및 전통적인 풍습이 지속되게 돕는다.

● 먼 거리에 매일의 식량을 공급하고 농산물을 판매하는 취약한 사회 기반시설에 의존하는 것은 본래 위험하다. 보다 균형 잡힌 음식을 제공하는 것에 더하여 제품의 다양성을 늘리는 것은 농업의 안정성에도 기여한다. 생산품의 다양성과 그로 인한 수입은 한가지나 두세 가지 작물/생산품에 수입을 의존하는 위험을 경감한다. 그런 다양성은 작물 실패나 (과잉공급이나 과소공급에 의한) 시장 교란에 대한 완충제다.

● 자원을 공유하면 공동체를 강하게 하고 농장들 사이에 시너지를 창출한다.

 

실행 사례

● 식량안보가 문제가 되는 곳에서 기업(농사 및 기타 가치사슬 활동가)은 기업 구성원, 그들의 가족 및 지역사회의 식량안보에 기여한다.

● 완전한 자급은 필요하지 않을지 몰라도 농사짓는 기업들은 농장과 그의 작업자들의 식량안보를 매년 보장한다. 농장 소유자/가족 자신의 식량을 실제적으로 지역에서 생산된 것에서 공유하는 것은 이것을 성취하는 한 가지 방식이다.

● 기아 혹은 충분한 식량과 영양에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에서 시장에 식량 공급의 우선권은 가장 가까운 이웃에서 지리적으로 외부로, 농장 가족에서 마을 혹은 도시로, 지역으로, 국가로, 그다음에 그 이상으로 확장된다. 지역의 기아에 직면하여 농부들은 농장이 지역 외 판매나 더 먼 거리의 시장으로부터 수입을 얻는 것에 우선하여 그들 자신의 가족의 생존과 그들 공동체의 생존을 위해 공급하게 할 수 있다.

주: 이것은 지역에서 소비되는 작물의 양이 유출되는 양보다 반드시 많아야 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 이웃 도시 주민들에게 균형 잡힌 식사를 위해 안정된 식량원을 공급하는 것은 필연적인 목표이지만, 그것은 그러한 공급의 개발과 증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정부 정책에 의해 조성되어야 하는 것이다.

● 농부들은 식량안보와 식량주권을 확보하는 것을 돕기 위해 그들 자신의 생산과 지역에 있는 다른 생산단위들과 협조를 다양하게 하도록 노력한다. 농부 혹은 농사짓는 지역사회의 집단은 식량안보와 식량주권을 동시에 성취하기 위해 그들의 작물을 성공적으로 거래하고 통합할 수 있다.